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명사의 쓰임 - ‘장미꽃 열 송이’와 ‘장미꽃 삼십(三十) 송이’
한국어에는 무엇을 셀 때에만 쓰이는 의존명사 있다. ‘개 한 마리, 학생 네 명, 꽃 한 송이, 사과 한 개(個), 열한 시(時) 칠 분(分) 오 초(秒), 이십 세(歲), 이십 리(里), ···’에서 밑줄 친 ‘마리, 명, 송이, 개, 시, 분, 초, 세, 리’ 등이 그것이다. 이들을 단위성 의존명사라고 한다. 한국어에는 단위성 의존명사가 풍부하게 발달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다른 언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한국어의 특징이기도 하다. 단위성 의존명사는 항상 수를 나타내는 말을 앞세운다. 수를 나타내는 말에는 ‘한, 두, 세, 네, 다섯, ···’과 같은 고유어계가 있는가 하면, ‘일(一), 이(二), 삼(三), 사(四), 오(五), ···’와 같은 한자어계가 있다. 그런데 수를 나타내는 말과 단위성 의존명사와 어울릴 때 재미있는 현상이 발견된다. (1)가. 소 한 마리/ *소 일 마리(*는 규범에 어긋난 표현을 가리킴) 나. 장미꽃 다섯 송이/ *장미꽃 오 송이 다. 열 살/*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