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외교, 청년이 이끌어 가자
2010년 5월 외교부가 공공외교 원년을 선포했다. 그리고 2013년부터 외교부는 ‘청년’ 공공외교단을 모집하고 있으며, 작년에만 공공외교에 예산 90억원을 반영했다. 공공외교가 무엇이길래 외교부가 관심을 보이는건지 알아보자. 그리고 외교에 왜 청년이 들어갔는지 살펴보자. 우선 ‘공공외교’라는 용어는 냉전당시 미국의 외교관이었던 에드먼드 걸리온(Edmund Gullion)이 사용하면서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 당시 공공외교는 군사력, 경제력 중심의 하드파워를 보조하는 역할로서 사용됐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며 냉전의 종식, 뉴 미디어의 비약적인 발달, 시민의식의 변화에 따라 하드파워와 함께 문화, 예술, 스포츠와 같은 무형의 자산이 외교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게 됐다. 이러한 변화는 외교 틀에 영향을 주었다. 기존의 외교가 정부 홀로 주체였다면 21세기 공공외교는 정부를 포함한 다양한 민간이 주체가 된다. 더불어 과거에는 정부 간 공식협상이 주 외교였다면 이제는 인터넷, SNS 등 디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