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회 황룡학술문학상 문학상 부문 심사평
제 34회 황룡학술문학상 문학상 부문 심사평
올해로 황룡학술문학상이 34회를 맞는다. 이쯤 되면 작지만 의미 있는 하나의 역사를 구축했다고 해도 그리 큰 무리는 없을 듯하다. 하지만 매해 황룡학술문학상의 심사에 임하면서 걱정이 먼저 앞서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이렇게 막다른 골목에 내몰린 젊은이들이 아직도 문학에 뜻을 두고 있을까, 과연 그것이 가능하기는 한가 하는 우려 때문이다. 그러나 심사 대상 작품을 받아본 순간 이런 생각이 기우였음을 바로 알 수 있었다. 시 부문에 28명의 125편, 수필 부문에 5명의 9편, 소설 부분에 14의 15편, 그리고 마지막으로 평론 부문에 3명의 3편이 응모되었기 때문이다. 예년에 비해 풍작은 아니지만, 그래도 아직도 이렇게 문학을 하겠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구나, 아직은 문학에 희망을 가져도 되겠구나 싶어 살짝 마음이 들뜨기까지 했다.
그러나 시/수필 부문의 응모작 수준은 대체로 실망스러웠다. 수필은 대부분의 작품들이 자기가 겪은 일상사를 담담하게 정리한 것이었다. 그러나 자신의 경험을 진실하게 쓴다고 해서 좋은 작품이 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경험을 통해 보편적인 삶의 깊은 의미를 발견하는 데까지 이르러야만 한다. 그런 점에서 보면 응모한 수필들은 아쉬운 점이 많았다. 시도 마찬가지였다. 대부분의 작품이 자신의 경험을 진솔하게 써내려간 것들이었다. 시는 장르의 특성상 아무래도 자기고백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 또한 너무 사적인 데 치우쳐 있다면 의미가 없다. 시를 통해서 독자가 알고자 하는 것은 개인의 사생활이 아니다. 시인의 자기 고백 너머에 있는 새로운 깨달음을 읽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 중에서도 김한솔의 <가로등> 외 5편의 시들은 상당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어서 반가웠다. 특히 일상적인 것들로부터 비유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빚어내는 솜씨가 매우 뛰어났다. 조금만 더 다듬는다면 훌륭한 작품을 쓸 수 있는 자질을 보여주었다. 그래서 이 작품을 주저 없이 당선작으로 뽑았다. 아쉬움이 있다면 아직은 소품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 작품들의 수준이 일정하지 않다는 점 등이다. 정진하기를 빈다. 가작으로 뽑은 서지혜의 <별의 탄생> 외 3편의 작품도 관심을 끌었다. 특히 몇몇 작품에서 보여준 여성적 상상력의 아름다움은 당선작으로 뽑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였다. 더욱 정진한다면 크게 성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시/수필 부문에 비해 소설/평론 부문은 더 적막했다. 잘 짜여진 소설/평론은 문제의식이 느슨했고 문제의식이 치열한 작품은 그 과잉의 문제의식이 작품의 완성도를 결정적으로 해치고 말았다. 그런 와중에도 박제균씨의 <시(試)의 나라>를 만날 수 있었던 것은 그나마 위안거리였다. 이 소설은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 이 땅의 젊은이들에게 자신들의 꿈과 개성을 펼칠 것을 권유하는 대신 각자의 꿈을 접어야만 통과가 가능한 온갖 시험을 강요하는 한국 사회에 대한 통렬한 고발과 비판을 담고 있는 작품이었다. 그리고 그 비판 끝에 갈릴레이가 ‘그래도 지구는 돈다’고 했듯 ‘그래도 젊은이라면 자신들의 꿈을 밀고 가야 한다’는 도전적인 결론을 도출한 대목이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다른 것도 아닌 시험 혹은 취업에 찌든 청춘에 관한 소설이라면 요즘 너무도 흔한 소재이다. 흔한 소재를 다룰 때는 형식이 도발적이거나 아니면 그것을 바라보는 시선이 전위적이어야 기존의 소설과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는 바, 이 소설은 이 흔한 소재를 다루면서 낯섦을 만들어내는데 한계를 보이고 말았다. 꽤 공들여 쓴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시(試)의 나라>가 가작에 그칠 수밖에 없었던 까닭이다.
당선자들에게 축하를 보내며 모든 응모자들의 정진을 기원한다.
심사위원 : 국어국문학과 최동현 교수, 국어국문학과 류보선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