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렴하고 냉철한 배짱이, 기자
기자는 신문·통신·잡지·방송 등 주로 시국에 관한 보도 및 논평을 하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취재·편집·논평 등의 일을 담당한다. 신문·방송·통신 분야 등 취재를 담당하는 경우와 잡지에서는 주로 기고자와 교섭하는 일을 하는 사람을 '기자'라고 한다. 기자는 기자 자신이 직접 사건의 현장에 가서 그곳의 현장을 전해주는 역할을 한다.
기자는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각종 사고, 사건, 정치 경제 소식, 생활정보등을 신문과 잡지 인터넷 라디오 티비 등을 통해 일반인에게 신속히 알려준다. 그리고 활동하는 매체에 따라서 방송기자와 시눈기자, 잡지기자 등으로 분류되며 담당 업무에 따라서 취재기자, 편집기자, 사진기자, 연예 의학 전문기자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기자는 주로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기사를 작성하고 특정 사건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한다. 그리고 기자가 하는일 중 핵심내용을 파악하여 가장 중요한 정보에 해당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제목과 소제목을 뽑아 원고를 교정하고 전반적인 편집 방향을 결정한다. 따라서 기자는 독자가 이해하기 쉽고, 편견이 없는 기사를 쓸 수 있는 글쓰기 능력과 사회현상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기자는 근무시간이 상당히 불규칙하고 출퇴근 시간 역시 일정치 않고, 단기간 내 마감해야 하고 남보다 먼저 신선한 기사를 써야 한다는 압박감에 시달리기 때문에 이에 맞는 건강한 체력과 정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적극적인 사고방식과 정의감, 정확한 판단력과 공정성, 순발력, 비판적인 시각 등이 요구된다.
기자가 되기 위해서는 신문, 잡지, 방송사에서 실시하는 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방송사나 신문사의 경우 대졸이상이어야 하고, 잡지사의 경우에는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는 보통 1~2년 정도 걸린다. 서울 소재 주요 언론사의 경우에는 언론사 별로 소수의 기자를 채용하고 있어 경쟁률이 높기 때문에, 입사하고자 하는 언론사의 채용전형을 미리 확인하여 준비해 두는 것이 좋다. 잡지, 방송, 신문기자의 경우에는 대졸이상인자로 응시조건을 두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서류심사, 필기시험, 면접으로 이루어지고, 필기시험은 상식과 논술 등으로 치러진다.
먼저 대부분의 언론사는 논술 또는 작문 시험을 본다. 또 상식 시험을 보는 언론사가 꽤 많다. 그리고 요즘 국어 및 한자 시험을 많이 치루는데, 국어는 맞춤법 및 각종 문학 작품이 나오고, 문학 작품에 대한 문제는 고등학교 문제 수준이다. 한자는 주로 고사성어 쓰는 문제나 한자어 독음 달기, 한자어 쓰기 등과 같은 문제가 주로 나온다. 그리고 기자가 되기 위해 특별한 전공의 제한은 없지만 신문방송학과 와 4년제 대학이상의 정치학, 사회학, 신문방송학 등 인문사회 계열을 전공하면 기자가 되기 위해서 좀 더 유리하다. 잡지사 기자는 혼자서 기획, 섭외, 취재, 원고작성을 다 해야하기 때문에 문장력 테스트와 기획안 교정, 편집 실무 등의 실기를 치룬다. 그리고 학원추천이나 인맥을 통한 경력기자의 채용이 많다.
기자가 되기 전에 기자직에서 인턴십을 해보는 것이 좋다. 이는 저널리스트로서의 기본기를 갖춰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경험이 될 수 있다. 또한 스터디 그룹을 해보는 것도 좋다. 그리고 무엇보다 기자가 되기 위해 준비해야 할일은 글쓰기 능력과 외국어, 폭넓은 지식이 필요하며 독서를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하게 독서를 많이 하여 상식을 넓히고 글쓰기 능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서울소재 주요 언론사의 경우 한 해에 언론사 별로 약 5-10여명의 기자를 공채를 통하여 채용한다. 어느 사회에서든 언론은 꼭 필요한 매체이므로 향후 5년간 신문기자의 고용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나, 방송기자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채영 기자
chaeyoung@kunsa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