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달라진 중앙도서관, 어떻게 바뀌었나?

지난 24일, 중앙도서관 1층 로비에서 ‘중앙도서관 리모델링 오픈식’이 열렸다. 리모델링 공사는 학기 초에 시작되어, 1층부터 4층까지의 전체 내부 리모델링과 냉·난방기 공사, 분전반 및 조명설치가 이뤄졌다. 그리고 약 3개월만인 지난 24일에 중앙도서관은 리모델링 오픈식으로 새로운 모습을 선보였고, 다시 새롭게 문을 열었다.
![]() |
출입구의 커뮤니티 PC(Community PCs)에는 정보검색 공간이 조성되어, 출입벽이 전면 배치돼있던 이전의 비효율적인 공간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1층은 커뮤니티 라운지(Community Lounge)로 신설됐다. 기존 대출실의 넓고 산만했던 공간이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 라운지로 바뀌었고, 황룡교양필독서를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열람공간도 마련됐다. 기존에 1층에 있던 신문대와 전자정보실 공간은 넓게 확장돼 유리벽으로 된 학술·전자정보실로 조성됐다. 학술·전자정보실에는 신간 잡지와 학술지 등이 구비되어 연속간행물을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정보검색을 할 수 있도록 컴퓨터가 마련되어 있으며, 미디어 열람석에서 모니터를 통해 DVD를 시청할 수 있다.
![]() |
2층부터 3층까지의 자료실에도 새로운 변화가 생겼다. 첫 번째로 ‘보존서고 이관작업’을 실시하여, 오래된 책은 보존서고에 보관하고, 새로운 책은 자료실에 있는 책장에 진열해서 오래되고 낡은 책보다 깨끗한 새 책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두 번째로 ‘내부 계단 보수공사’를 통해 노후화 되어 누렇게 변색돼 미끄럼 방지 기능을 상실했던 계단을 새롭게 보수했다. 세 번째로는 ‘조망형 열람석’을 새로 마련했다. 4인 이상 테이블로 학습 공간을 두었던 이전과 다르게, 개인 위주의 ‘조망형 열람석’으로 창밖을 조망하면서 학습할 수 있는 열람석이 마련됐다. 그리고 2층 사회·자연과학 자료실의 대형 창호로 전망이 트인 공간에는 책장 대신 노트북 열람실을 마련해 학습공간이 더욱 확충됐다.
![]() |
4층의 참고·연속간행물실에는 간행물실의 공간을 대폭 축소하여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유리벽으로 자료실과 스터디카페를 구분하여 그동안 부족했던 학습공간이 조성됐다. 자료실 내부에는 노트북 열람실과 혼자서 사색하며 독서할 수 있는 개인소파가 마련됐다. 스터디카페는 이용자들의 학습 트렌드를 반영하여 편안하고 자유로운 학습 공간을 조성하고자 새롭게 마련된 곳이다. 그리고 학습 열람실에는 120석 규모의 LED 전등 열람대가 배치되어 더욱 쾌적한 학습 열람실이 조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