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 홀, 최근 도시개발로 심화돼

지난달 19일 인천지하철 공사 현장 주변 도로 한복판이 갑자기 무너져 이곳을 지나가던 오토바이 운전자 한 명이 원모양으로 침하된 지반과 함께 매몰돼 목숨을 잃었다. 이렇게 갑자기 지반이 침하해 깔때기 혹은 원통 모양을 이루는 현상을 싱크 홀이라 한다. 과테말라에서는 도심 한가운데에 너비가 30m, 깊이가 100m에 이르는 구멍이 생겨 메우는 데에만 3년이 걸렸다고 한다. 또한 중국에서는 쓰촨성의 장닝현이라는 마을에서 일주일 동안 크고 작은 구멍이 80~100여개 가량 생겨 집, 논밭, 도로, 저수지 등이 가라앉아 주민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우리나라도 안심할 수만은 없다. 이번 지반침하 현상이 발생한 인천을 비롯해 전남 무안에서는 멀쩡하던 방앗간이 하루사이에 땅속으로 무너졌고, 충북 음성의 꽃동네에 있는 건물도 굉음과 함께 구멍이 생겨 무너졌다. 충북 청원에서는 마을 저수지에 구멍이 생겨 물이 모두 사라져 버렸다. 요즘 들어 이러한 현상이 심화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인간의 욕심이 부른 지나친 개발이 자연에 상처를 입혀 이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금이나 석탄 등을 캐려고 무리하게 갱도를 확장하거나 지하철을 만드는 등 자연의 질서를 무시하고 인간의 편리를 위해 시행했던 공사들이 지반을 약하게 만든 것이다. 충북 음성 소망의 집의 경우 일제시대 때 불법으로 금광을 캐면서 지반이 약해져 싱크 홀이 발생했다고 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 현상에 대한 대비는커녕 지반을 침하하는 개발만 심화시키고 있다. 또한 조사 결과 지하철역 주변은 강남의 주요 지하철역 인근의 지반 침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들이 가장 많은 도시에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면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가 우려된다.
물론 인간의 손이 닿지 않고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싱크 홀과 바다 속에서 땅이 꺼진다 하여 블루 홀이라 하는 현상도 있다. 하지만 자연적인 현상으로 입는 피해보다 사람들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피해가 적지 않다. 특히, 지하수 이용에 의해 주거지 주변에서 발생하거나 지하철의 개발로 생기는 인위적인 원인이 큰 부분을 차지한다.
이 현상은 예고도 없이 찾아와 사전 예방을 할 수 없어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뚜렷한 조치도 취할 수 없다. 때문에 싱크 홀이 발생한 지역의 사람들은 언제 또 꺼질지 모르는 지반 침하로 인해 공포와 불안에 떨고 있다.
사람들이 이익을 얻기 위해 무분별한 개발을 하지만 오히려 자연으로부터 공격을 받고 있다. 인간의 욕심으로 인해 누군가가 예견한 지구 종말이 점점 더 앞당겨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정은해 기자

for_truth@kunsa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