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기 있는 선행 혹은 쓸데없는 오지랖?
사회란,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모든 형태의 인간 집단을 의미한다. 우리는 타인에게 도움을 받음으로써 공동체의 삶을 실감하는데, 특히 예기치 못한 제3자의 도움은 마음에 더욱 큰 울림을 가져온다. 때문에 타인의 선행을 목격하거나 사회미담 기사의 댓글을 보면, ‘아직 세상 살 만하네.’라는 반응이 주를 이룬다. 하지만 반대로 누군가의 불의에 나서는 이가 없으면 ‘각박한 세상’이라며 사회를 한탄하기도 한다. 이처럼 우리는 서로 도우며 살아가는 공동체의 삶을 추구하고 있지만, 실제로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을 과연 ‘공동체의 삶’이라고 할 수 있을까?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한 가지 경험을 말해보자면, 나는 최근에 우산 없이 신호를 기다리는 할머니를 본 적이 있다. 사실 우산을 씌워드리는 것은 당연한 도리이지만, 처음에는 망설였다. 우산을 씌워 드리는 게 괜한 오지랖은 아닐지, 한편으로는 다른 사람도 많은데 ‘내가 굳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망설이는 시간 동안 주변을 둘러보았는데, 모두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며 할머니에게 눈길을 주는 사람은 없었다.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그 상황 속에서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행위는 ‘외면’으로밖에 느껴지지 않았다. 나는 그 모습을 보고는 바로 할머니께 우산을 씌워 드렸고, 할머니는 나의 행동에 고맙다는 말을 아끼지 않으셨다.
나의 일화를 듣고 지인들의 반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었다. 누군가는 ‘선행’이라고 말했지만, 다른 누군가는 나의 행동을 ‘오지랖’으로 보고 있었다. 후자를 말한 지인에 의하면, 요즘 같은 세상에 괜히 나섰다가 불이익을 겪는 경우가 많다며 오히려 나를 타박했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그날 내가 우산을 씌워 드린 것은 어떠한 이익을 위한 게 아닌, 그저 할머니가 비에 맞지 않도록 도와드리기 위함이었다. 만약 할머니가 나의 행동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셨다고 해도 타인을 돕고자 했던 내 의도에는 변함이 없다.
앞선 일화는 할머니께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셨기에 ‘용기 있는 선행’으로 바라보는 이가 많았지만, 만약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셨다면 어땠을까? 주변의 지인은 물론이고 나 스스로도 괜한 오지랖을 부렸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우리는 은연중에 눈에 보이는 결과만을 보고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긍정 혹은 부정의 한 끗 차이로, 행위의 가치가 판단되는 것이다. 미디어에 노출된 실험 카메라를 보면, 타인의 불의를 보고 지나치는 사람들 역시 ‘다들 가만히 있는데 나서면 이상하게 보일까봐’, ‘괜히 도왔다가 피해를 입을까봐’ 등의 결과주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분명 우리는 사회 속에서 더불어 살아가고 있음에도, 왠지 각자의 삶은 개인주의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만 같다.
우리는 현 사회가 어떤 모습을 취하고 있는지 관심을 가지고 자각할 필요가 있다. 당신은 타인을 도움으로써 어떤 감정들을 느껴보았는가? 뿌듯함 일수도 있고 혹은 불쾌함을 느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결과가 어떻든 타인을 돕고자 했던 그 마음을, 스스로 높게 평가해주길 바란다. 결과에 상관없이 타인을 생각하는 마음은 그 자체로 충분한 가치를 지니기 때문이다. 개개인의 ‘용기 있는 오지랖’이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길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