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다시 멀어진 이산가족상봉의 꿈

북한은 비극을 정치적으로 악용해선 안돼

안송희 기자
- 5분 걸림 -

지난 25일부터 30일까지 예정됐던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북측의 일방적인 연기 통보로 다시 안개 속으로 빠져들었다. 6·25전쟁으로 인한 수백만 명의 인명 손실과 아울러 60년 이상 정전과 남북 대치가 지속되면서, 1,000만 명의 이산가족들이 생이별의 고통을 안고 있다는 것은 민족사의 크나큰 비극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이산가족들의 슬픔을 치유하기 위하여 1995년부터 2010년까지 18차례의 대면상봉과 7차례의 화상상봉을 가졌다. 그러나 남북에서 4,032가족 2만1,734명이 상봉의 기회를 가졌을 뿐, 남한의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12만 8,842명 중 그 동안 약 43%가 사망해 7만 2,882명이 남았다. 이 중 80세 이상의 고령자가 49.8%를 차지하고 있어 현행대로 남북 100명씩인 방식으로 상봉이 이뤄질 경우 몇 년 사이에 고령자들은 상봉의 기회를 얻지 못하고 사망하는 이산가족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실정에 있다. 또 신청자 중에서 로또복권에 비유될 만큼의 행운을 얻어 상봉했더라도 1회성에 그치고, 서신 교환에서 나아가 정례화가 지속되지 않아 그리움만을 가중시키는 또 다른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뿐만 아니라 국군포로는 물론 납북자들에 대해 북측은 존재 자체를 부인하면서 `전후(戰後) 생사를 알 수 없는 자'로 지칭해 우리 측의 생사확인 의뢰에도 소극적이거나, 만남 자체를 봉쇄하며 `생사확인 불가'로 장막을 치기까지 하는 치졸한 행태를 계속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 이산가족 상봉이 단발성 내지 가변성만 계속되고 진전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북측이 이산가족 상봉을 인도적이기 보다 정치적이고, 정략적으로 접근해 우리와의 협상에서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는데 더 큰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남북 모두가 진정으로 이산가족의 아픔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이제 책임 있는 당국자 간의 대화를 통해 문제를 근본부터 개선하고, 본격적으로 대처해 생사 확인, 정례화, 서신 교환, 전화 등을 통해 단절되고 변질된 의식을 회복시켜 한민족으로의 동질감을 회복해 통일의 초석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러기 위해서는 첫째, 북측이 이산가족 문제를 정치적, 정략적이 아닌 진정한 인도적인 정책으로 전환하는 열린 사고와 자세가 전제되어 신뢰를 쌓아야 한다. 둘째, 우리 정부도 이산가족 문제를 통일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두고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추진의지를 가져야 함은 물론, 문제 해결을 위해 조성된 통일기금을 대폭 활용하는 방안을 추구해야 한다. 즉, 동·서독의 분단 시절 서독 측이 동독에 자유기금을 통해 대가를 지불하면서 인도적인 사업을 추진한 경험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셋째,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는 국가가 국민을 보호할 책무가 있음을 인식하고 현재 이산가족 상봉에 끼워놓기 등의 소극적인 자세를 지양하고 대책기구를 설치, 운영하면서 분리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방향 전환과 이 또한 대가를 지불하더라도 이들의 송환에 나서야 한다.
6·25전쟁이 일어난 지 63년, 전쟁의 참혹한 비극은 점점 잊어가고 있지만, 이산가족들은 아직도 깊은 상처와 한은 가슴 깊이 안고 살아가고 있다. 현실에서 진정한 한민족의 통일은 사람과 사람이 합치는 것이며, 응어리지고 갈라진 마음과 잊혀진 세월을 풀고 하루빨리 동질감을 회복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정부나 국민 모두가 인식해야 한다.
 

 

안송희 기자
1200455@kunsan.ac.kr

『남북이산가족상봉 무기한 연기』, 『농민신문』2013.09.25
『북측 이산가족상봉 연기 발표에 여야 맹비난』, 『시민일보』2013.09.24
『이산가족 상봉연기.. 고령의 상봉자들 ‘실망’을 넘어 ‘절망’』, 『아시아뉴스통신』 2013.09.23
『“얼마나 기다렸는데...” 이산가족 상봉연기 안타까움』, 『매일신문』2013.09.24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연재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