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언제부터 칼럼에 소설을 올릴 수 있게 되었을까

선을 넘은 언론

배소연 기자
- 3분 걸림 -

칼럼이 무엇인지에 대해 자세히 아는 사람은 적다. 신문의 사설이나 칼럼에 대해 대충 ‘기자가 어느 문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내비치는 글’정도로 아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원래 칼럼이란 ‘신문이나 잡지 등에서 시사문제, 사회풍속 등을 촌평하는 란’을 말한다. 그렇기에 칼럼에는 사회의 핵심을 풍자하거나 꼬집어 문제점을 파헤쳐 독자에게 공감과 흥미를 주는 정기적인 단편 글이 올라온다. 그런데 지난 17일자 동아일보 26면에 올라온 칼럼을 보니 그 또한 아닌 듯하다.
오피니언 면에 당당히 개재된 최영해 기자의 ‘채동욱 아버지 前 上書’는 그야말로 지금까지 나온 칼럼들 중 가장 큰 문제작이라 할 수 있다. 이 칼럼은 ‘채동욱 검찰총장 혼외아들 의혹’에 대해 그 아들의 시점에서 아버지에게 쓰는 편지 형식을 띄고 있다. 기존 칼럼의 딱딱한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해내고자 한 그의 노력이 잘 보였지만, 역시 자기 혼자만 아는 블로그에나 올릴 수준이었다. 오죽하면 이를 접한 누리꾼들 중 한명은 sns에 "정말 왜 그러세요. 그런 글은 제가 사드렸던 자물쇠 달린 키티 일기장에 쓰시라고 했잖아요. 자꾸 이러실 거면 어디 가서 우리 아버지라고 말씀하시지 마세요. 쪽팔려요"라며 최 기자의 글을 비꼬아 말할까.
선을 넘어도 한참 넘었다. 언론인으로서 갖춰야 할 도덕정신이 그의 칼럼 속에서 보이질 않는다. 문제의 쟁점을 벗어나 한 아이의 인권을 유린한 것도 모자라 언론의 질까지 떨어트렸다. 더군다나 칼럼의 본연을 잃고 새로운 소설 한편을 쓰고 만 최기자의 글을 당당히 오피니언에 싫은 동아일보까지, 그들의 수준이 정말로 한 나라의 언론을 맡고 있는 기자인지 의문이 들 정도다.
필자는 기자로서 한 편의 글을 쓸 때 그 글 속에 게재된 문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그 생각을 책임질 각오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이 책임감은 기자가 갖춰야 할 윤리의식과 사명감, 그리고 비판의식을 바탕으로 이뤄진다고 본다. 그렇기에 이번 17일자 동아일보의 칼럼은 정말로 문제가 되는 것이다. 최기자는 자신의 글을 통해 상처받게 될 아이의 마음을 책임을 질 각오가 있었을까. 동아일보는 이 글이 올라가고 난 뒤의 일을 감당할 책임을 가지고 있었을까.
기자라면 당연히 자신이 쓰고자 하는 글을 써야한다. 그 누가 탄압을 하더라도 정확한 정보와 사회의 문제를 비판하고 파헤쳐 알리는 글을 써야 하는 것이 기자의 사명이다. 그러나 그 글에 대한 책임감도 없이 갓길로 빠져 버린다면, 이미 그 기사 혹은 사설은 언론의 역할을 잃고 신문의 한 면에서 표류해 버린다. 의미를 잃은 글은 신문의 중요한 지면을 낭비할 뿐이다.
 

배소연 기자
1100062@kunsan.ac.kr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