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갈등을 양산해내는 우크라이나 사태, 그 끝은?
얽히고설킨 국가들의 이해관계 속에서 벌어지는 눈치게임
지난 5일 우크라이나 정부와 친러시아 반군은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무력사용 금지, 포로교환, 우크라이나 동부 특수지위 부여 등을 담고 있는 휴전협정에 서명함으로써, 우크라이나 동부의 친러시아 반군과 정부군 사이에 우크라이나 사태가 진정국면에 들어섰다.
현재 큰 화제가 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의 배경을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우크라이나는 키예프를 흐르는 드니프로강을 경계로, 유럽의 영향을 받은 서부와 러시아의 영향을 받은 동부로 나뉜다. 같은 나라 안에서도 서부는 우크라이나 인들이 살아가고 주로 농업에 종사한다면, 동부는 소련의 이주민정책으로 주로 러시아 인들이 거주하며 공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서부는 두 번에 걸친 세계대전과 대기근 등의 사건으로 러시아에 대한 반감이 심했다. 반면에 동부는 친서방 정권의 과도한 세금 납부의 요구와 러시아어의 공용어 제외시도로 정부에 대한 분노가 극에 달했다. 결국 동부는 친서방 정부를 인정하지 않고 동부 대통령의 복귀를 촉구하기에 이른다.
다음으로 논란의 중심이 되고 있는 크림반도는 수백 년간 동서 강대국의 충돌이 끊이지 않던 지역이라 할 수 있다. 1954년 소련의 힘으로, 소련의 소속이었던 이곳은 우크라이나의 자치지역이 됐다. 2013년 우크라이나 키예프에서, 친 EU 노선을 걷고 있던 우크라이나 여론에 반대하여 친러시아 노선을 선택한 빅토르 야누코비치 정권에 반발하는 시민 저항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친러시아 세력과 친서방 세력 간 정치 투쟁이 벌어지면서 크림반도 내부에서도 우크라이나로부터 분리 독립하자는 주장이 일었다. 크림반도는 과반수 이상의 국민이 러시아인으로, 우크라이나 동부와 마찬가지로 친러시아 성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 2월 친러시아 성향의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이 물러난 뒤, 사실상 러시아군이 크림반도 전역을 무력으로 장악하였고,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 사태는 더욱더 악화됐다. 결국 크림자치공화국과 세바스토폴시가 우크라이나로부터 독립하여 크림공화국으로 통일한다고 선언됐다. 심지어 2014년 3월 21일에 러시아 연방의회의 승인을 거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크림공화국 합병문서에 최종 서명하였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와 대부분의 국제 사회는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크림반도를 두고 이와 같은 갈등이 계속되는 이유는 양국 모두에게 이 지역이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공업이 발달한 크림반도를 잃게 될 경우 우크라이나에게는 서부의 농업 지역만이 남게 되며, 국가의 경제력은 더욱 추락하게 된다. 또한 러시아의 군사적 진출 견제를 위해 우크라이나는 이 지역을 반드시 지켜내야 하는 입장이다. 반면에 러시아는 부동항 획득 및 흑해 재해권 장악, 경제적·정치적 이해관계를 위해 크림반도를 되찾고자 하는 입장이다.
지난 5일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친러시아 반군이 휴전협정을 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교전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15일 우크라이나 서부 지역에서는 미국이 주도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15개국이 참여하는 군사훈련이 진행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를 포함한 수많은 나라들의 운명이 걸린 이번 사태가 과연 어떤 결말을 맺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참고
「‘우크라이나 사태’로 올 상반기 11만 명 러시아로 이동」,『경향신문』, 2014.06.27
「우크라이나 사태, 휴전협정 체결 뒤 진정국면」,『경향신문』, 2014.09.10
「미국, 우크라이나 지역에 처음으로 지상군 파견... 나토 15개국 연합군 합동 군사훈련 주도」,『조선일보』, 2014.09.15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