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사고 ‘안전 불감증이 낳은 참사’
신속한 구제와 재발 방지책 필요
시사 - 구미 가스 누출 사고
지난 달 27일,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봉산리 구미 제4국가산업단지에 위치한 플루오린 화학제품 생산업체 공장에서 불화수소산 가스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농작물이 죽고 가축이 가스 중독 증상을 보이는 등 피해가 속출하였다. 사고 발생으로부터 7일이 지난 후, 사고로 인한 호흡곤란과 피부반점 등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가 약 3178명으로 집계됐으며, 불산이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거나 비를 타고 흘러 낙동강을 오염시키는 등 3차 피해까지 우려되는 실정이다.
정부는 지난 8일 경북 구미의 불산가스 누출 사고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이에 따라 농림수산식품부·지식경제부·고용노동부·소방방재청 등 각 부처는 농작물·축산·산림·주민건강 등 분야별 지원기준 마련에 돌입했다. 또 정부는 환경부·의학전문가·지역관계자가 참여하는 공동조사단을 중심으로 주민건강영향조사를 진행하고, 대기·수질·토양·지하수를 매일 점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식품의약품안전청 전문가를 파견해 농작물 오염 여부를 판단, 식용으로 쓸 수 없는 농작물은 전량 폐기하기로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의 늑장 대응에 일침을 가하고 있다. 사고 발생 일주일이 경과해서야 범정부 차원의 차관회의를 열고 정부합동조사단 파견을 결정하는 등 정부의 대응이 늦어 현지 주민이 유독가스에 시달리고, 농작물과 가축 피해가 확산됐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미숙한 대응과 허술한 대처 역시 비판의 도마에 올랐다. 대한의사협회는 “사고 발생 초기 현장 통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통제 인력의 경우 개인 방호 조치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특히 “환경과학원의 오염 지역 불산 수치 측정이 간이측정법으로 이뤄져 정확성이 떨어지는데도 주민들의 복귀를 결정해 혼란이 가중됐다”고 덧붙였다. 또한 소방방재청 국정감사에서 행정안전위원회 의원들은 “첫 119 신고를 받았을 때 불산 가스 사고임을 소방관들이 알았는데도 화학보호복을 갖추지 않고 출동해 불산에 노출”됐으며 “사고 당시 매뉴얼에 따라 소석회를 뿌려 불산을 중화하지 않고 물을 뿌린 소방당국의 대응이 사태를 악화시켰다”고 지적했다.
이번 사고를 통해 유해물질에 대한 사전 관리감독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부각되었다. 불산과 같은 유해물질을 다루는 업체는 인근 주민에게 그 위험성을 알려야 하며, 정부는 유해물질에 대한 사전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고 비상시 대처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매뉴얼을 만들 필요가 있다. 누리꾼들은 “불산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너무 없었던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불산을 취급할 땐 안전 규칙을 엄수해야 하고, 불산을 취급하는 회사나 기관에 대해 정부가 나서서 철저하게 관리감독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태경 기자
*참고
「구미 불산가스 누출지역 ‘특별재난지역’ 선포」,『농민신문』 , 2012.10.10
「제2의 ‘구미 불산 누출 참사’ 막으려면」,『중앙SUNDAY』,2012.10.14
「소방방재청, 불산에 물 뿌려 사태 악화시켰다」,『그린포스트코리아』,2012.10.12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