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교통 약자를 위한 보도블록과 저상버스, 현황은 어떨까?

시각장애인, 휠체어 이용자의 교통 불편 문제

노유진 선임기자
- 5분 걸림 -

 장애인 이동권 요구의 본격화가 올해로 21년이 되었다. 장애인 이동권 요구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도 비장애인처럼 자유롭게 이동할 권리를 보장하라는 장애인 단체의 요구이다. 이를 반영하여 시행된 것이 바로 ‘교통 약자법’인데, 법이 시행되었음에도 아직 자유로운 이동은 어려운 모습이다. 이번 이슈에서는, △보도블록과 △저상버스의 현황 등을 알아보며, 교통 약자들의 불편함을 함께 깨닫고자 한다.

 길을 걷다 보면, 횡단보도나 건물의 계단 앞쪽에 설치된 노란색 보도블록을 볼 수 있다. 이는 ‘시각장애인 유도 블록’으로, △점형과 △선형으로 나뉜다. △점형 블록은 위험물이 있거나 횡단보도와 같이 대기해야 하는 경우, △선형 블록은 길의 진행 방향을 알리기 위해 설치된다. 앞을 보기 어려운 이들에게 유일한 길이 되어주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보도블록이 부실한 관리로 훼손되거나, 엉터리로 설치된 경우가 적지 않다.

 한국소비자원의 ‘수도권 소재 건물 주차장 차량 진·출입로 100개소 조사’에 따르면, 점자블록의 재질과 규격이 적합하지 않거나, 유지관리가 미흡해 시각장애인의 교통사고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블록이 교통 약자에게 도움을 주기보다, 오히려 위험 요소가 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보도블록을 다른 시설물이 점유하고 있는 일도 있다. 최근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자가 많아지면서, 제대로 주차하거나 반납하지 않고 보도블록 위에 정차해 둔 경우도 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장애인들이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저상버스’는 어떻게 이용되고 있을까? 저상버스는 바닥이 낮고 출입구에 계단이 없는 버스로, 시각장애인이나, 거동이 불편해 휠체어를 이용하는 이들에게도 편리하다. 국토교통 통계 누리에 따르면,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시내버스 가운데 저상버스의 도입률은 서울이 57.8%로 가장 높았고, 전남이 11.5%로 가장 낮았다. 그중 전북은 23.5%였으며, 전국 평균 30%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처럼 저상버스의 도입률이 낮은 것은, 교통 약자법에 저상버스 도입 목표치만 명시되고 이행을 강제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장애인 단체는, 지난 10월과 12월 등 저상버스 도입률 100%를 요구하며 꾸준히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기초적인 제도가 도입된 만큼, 법 개정과 더불어 합의점을 찾아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우리 대학은 이러한 현실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을까? 우리 대학은 ‘장애학생 지원센터’를 운영하여, 장애학생의 교수·학습 및 대학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중 원활한 대학생활을 위해 주 1회 △장애학생 전용 지원차량을 운행하고 있다. 또한, 학기별로 진행하는 간담회를 통해 요구사항과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한다. 장애를 가진 학우들의 이동권 향상과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 부족함이 있더라도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우리 대학은 학생 생활관을 포함한 각 건물 입구에 휠체어 이동이 가능한 경사로 설치를 통해 불편을 줄였는데, 학우들은 이러한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관심과 주의를 더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2월 KBS 대전 방송에서는, 버스 정류장 공사 때문에 경사로가 막혀, 전동휠체어 이용자가 추위 속에 1시간가량 움직이지 못한 사례가 보도됐다. 이 같은 교통 불편은 관심을 두고 들여다보면 셀 수 없이 많다. 최근 뚝 떨어진 기온과 함께 눈이 내리는 일이 잦아졌는데, 꽁꽁 얼어붙은 길을 보면 거동이 불편한 교통 약자들은 더욱 어려움을 느낄 것으로 생각한다. 교통 약자법 시행 이외에도, 더 세심한 관리와 배려로 서로의 편의를 존중하는 따뜻한 새해가 될 수 있길 바란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