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함께 타는 ‘공유 자전거’, 이대로 괜찮은가?

개인형 이동수단 공유 서비스의 편리함 속 이면들

최지수 기자
- 5분 걸림 -
▲ 우리 대학 인근 카카오 T 바이크 / 촬영 : 최지수 수습기자

 최근 개인형 이동수단 공유 서비스 중 하나인 ‘공유 자전거’가 우리 대학 캠퍼스 인근에 도입되었다. 이는 지난 2019년에 도입된 ▲전동킥보드 공유 서비스인 △지쿠터 △빔 △씽씽 등과 함께, 우리 대학 학우들의 교통수단으로서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과 반대로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이번 이슈에서는 최근 군산지역에 도입된 ‘공유 자전거’ 도입 계기와 편리함 속 문제점은 무엇이 있는지, 나아가 다른 개인형 이동수단 공유 서비스는 어떤 것이 있을지 알아보겠다.

 ‘공유 자전거’는 정부에서 공공의 목적을 위해 구축한 근거리 교통수단의 일환이다. 이는 여러 지자체에서 공유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으며, 서울시의 ‘따릉이’나 대전의 ‘타슈’처럼 시민의 편의와 대중교통 수요를 분산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그리고 현재에 이르러서는 민간 업체의 공급 증가로 그 수요가 더욱 빠르게 확산되면서, 우리 대학 캠퍼스 내부와 인근에 전기 자전거 공유 서비스로 ‘카카오 T 바이크’가 도입되었다. 이는 킥보드와 유사한 개인형 이동수단 공유 서비스로 간편하게 대여 및 반납이 가능하다.

 이처럼, 해당 서비스는 학우들의 이동에 편리함을 주었지만, 동시에 ▲문제도 일으켰다. 첫째는 △‘불법 주차’ 문제이다. 공유 킥보드 불법 주차와 유사하게 공유 자전거 또한, 이와 관련되어 문제로 대두됐다. 또한, 이는 지나가던 차량과 접촉 사고 혹은 걸어가던 사람과의 사고 등으로도 이어지며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켰다.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이 문제는 어디에 초점을 두고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하는지 논란이 일고 있다. 둘째는 △‘안전상의 위험’ 문제이다. 이는 탑승자가 자신을 위하여 준수되어야 할 안전 사항임에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이에 법과 규제가 한층 강화된 바 있으나, 안전모 등의 실제 장치 착용률은 매우 미흡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는 △‘교통사고 발생’이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자전거로 인한 사망자는 총 449명에 달한다. 공유 자전거 서비스의 등장으로 이용자 수가 더욱 많아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이용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개개인의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한편, 공유 자전거 외, 새로운 개인형 이동수단 공유 서비스로 ‘공유 스쿠터’가 등장했다. 지난 11월, 모빌리티 업체 ‘스윙’에서 서울 강남구와 송파구를 중심으로 시범 운영에 나선 것이다. 이는 면허 인증이 없으면 이용할 수 없지만, 실상 무면허여도 면허가 등록된 아이디 하나만 공유되면 이용 가능하다는 오점이 있다. 그간 개인형 이동수단 공유 서비스로 인해 각종 사건, 사고가 유발되었는데, 새롭게 등장하는 공유 스쿠터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개인이 킥보드나 자전거를 직접 구매하지 않고도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개인형 이동 장비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이는 우리 대학 교내·외의 이동시간을 단축해준다는 장점이 있지만, 탑승자의 안전 문제가 우려의 목소리로 나오고 있다. 이러한 불상사를 막기 위해 학우들의 관심과 더불어, 지자체와 정부의 체계적인 관리·감독이 필요하다. 공유 자전거 서비스를 비롯한 개인형 이동수단 공유 서비스가 우리 대학 학우를 비롯한 모든 이들에게 안전하고 이로운 공공재 서비스가 되길 바란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대학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