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혼동하기 쉬운 단어(3)

-조리(調理)와 관련된 동사들②

김선주 선임기자
- 5분 걸림 -


앞에서 조리와 관련된 동사들 중에서 미묘한 뜻의 차이를 보이는 단어들을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일반 동사들과 형태가 비슷해서 혼동하기 쉬운 조리 관련 동사를 살펴보기로 하자.

‘달이다’와 ‘다리다’

(1)가. 한약 {달여/다려} 드립니다.
나. 바지를 {달여/다려} 줄을 세웠다.

‘달이다’와 ‘다리다’는 의미가 전혀 다르다. ‘달이다’는 ‘액체 따위를 끓여서 진하게 만들다.’ 또는 ‘약제 따위에 물을 부어 우러나도록 끓이다.’라는 뜻을 지닌 조리 관련 동사이다. ‘다리다’는 ‘옷이나 천 따위의 주름이나 구김을 펴고 줄을 세우기 위해 다리미나 인두로 문지르다’라는 뜻을 지닌 동사이다. 따라서 (1가)에서는 각각 ‘달여’가 맞고 (1나)에서는 ‘다려’가 맞는다. ‘달이다’의 경우 소리 나는 대로 쓰지 않고 ‘-이-’를 밝혀 적는 이유는 ‘달이다’가 자동사 ‘달다’에 사동접미사 ‘-이-’가 붙어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자동사 ‘달다’에는 ‘물기가 많은 음식이나 탕약 따위에 열을 가하여 물이 졸아들다.’라는 뜻이 있다. 한편 ‘(바지를) 다리다’는 더 작은 의미 단위로 쪼갤 수 없다. 곧 ‘달-+-이-’로 분철해서 표기할 근거가 없기에 소리 나는 대로 ‘다리다’로 적는다. 참고로, ‘다리미’가 ‘다리다’에서 나온 말이라는 걸 기억하면 ‘다리다’와 ‘달이다’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절이다’와 ‘저리다’

(2)가. 배추를 소금물에 {절이다./저리다.}
나. 나는 발이{절여도/저려도} 아프다는 소리를 하지 못했다.

‘절이다’는 ‘푸성귀나 생선 따위에 소금기나 식초, 설탕 등이 배어들게 하다’라는 뜻을 지닌 조리 관련 동사이다. ‘저리다’는 ‘뼈마디나 몸의 일부가 오래 눌려서 피가 잘 통하지 못하여 감각이 둔하고 아리다.’라는 뜻을 지닌 동사이다. 따라서 (2가)에서는 ‘절이다’가 맞고, (2나)에서는 ‘저려도’가 맞는다. ‘절이다’의 ‘-이-’를 밝혀 적는 까닭은 ‘달이다’에서 ‘-이-’를 밝혀 적는 까닭과 똑같다. 곧 ‘절이다’가 ‘배추가 소금에 절다.’의 자동사 ‘절다’에 사동접미사 ‘-이-’가 붙어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발이) 저리다’는 더 작은 의미 단위로 쪼갤 수 없기에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무치다’와 ‘묻히다’

(3)가. 콩고물을 {무친/묻힌} 떡
나. 콩나물을 {무치다./묻히다.}

‘무치다’는 ‘나물 따위에 갖은 양념을 넣고 골고루 한데 뒤섞다.’라는 뜻을 지닌 조리 관련 동사이다. ‘묻히다’는 ‘가루, 풀, 물 따위를 그보다 큰 다른 물체에 들러붙게 하거나 흔적이 남게 하다.’라는 뜻을 지닌 동사이다. 따라서 (3가)에서는 ‘콩고물을 묻힌 떡’이 맞고 (2나)에서는 ‘콩나물을 무치다.’가 맞는다. ‘묻히다’는 ‘콩고물이 손에 묻다.’의 자동사 ‘묻다’에 ‘-히-’가 붙어 만들어진 사동사이다. ‘무치다’는 더 이상 작은 의미 단위로 나눌 수 없기에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삭히다’와 ‘삭이다’

‘삭히다’와 ‘삭이다’는 둘 모두 자동사 ‘삭다’에 사동접미사가 붙어 만들어진 사동사이다. 그런데 그 뜻이 다르다. 두 사동사는 자동사 ‘삭다’가 지닌 여러 가지 뜻 중에서 서로 다른 뜻에 바탕을 두고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4)가. 밥을 {삭혀/삭여} 끓인 감주
나. 분을 {삭히다./삭이다.}
다. 요즘 위가 좋지 않은 먹을 것을 제대로 {삭히지/삭이지} 못한다.

사동사 ‘삭히다’는 자동사 ‘삭다’의 의미 중 ‘김치나 젓갈 따위의 음식물이 발효되어 맛이 들다.’라는 뜻에서부터 만들어진 사동사이다. ‘삭히다’에는 ‘발효 과정’이 동반된다. 한편 ‘삭이다’는 ‘삭다’의 의미 중 ‘먹은 음식물이 소화되다.’와 ‘긴장이나 화가 풀려 마음이 가라앉다’라는 뜻에서부터 만들어진 사동사이다. 따라서 (4가)는 발효 과정이 동반되므로 ‘삭혀’가 맞고 (4나)는 ‘삭이다’가 맞는다. (4다)의 경우 ‘발효’가 아닌 ‘소화’와 관련되므로 ‘삭이지’가 맞는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오피니언연재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