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화폐 개혁의 중심, 디지털 화폐

비트코인, 카카오페이 등 일상 속 디지털 화폐

노유진 선임기자
- 4분 걸림 -

 디지털 화폐란 디지털 방식으로 사용하는 형태의 화폐로, 금전적 가치를 전자적 형태로 저장해 거래할 수 있는 통화를 가리킨다. 이러한 화폐 안에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전자화폐 △암호화폐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등이 포함된다. 이번 기획에서는 디지털 화폐의 발생과 그 종류를 알아보고, 오늘날 디지털 화폐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먼저, 디지털 화폐는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을까? 컴퓨터가 발명된 이래로, 사람들은 각종 문서를 디지털 파일로 보관하기 시작했다. 동시에 금융 거래 내역을 컴퓨터로 기록·보관했고, 이로 인해 금융 분야에서는 적극적으로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게 됐다. 이때 많은 화폐는 실물 화폐가 아닌 장부에 적힌 신용 화폐였기에 이를 디지털로 대체하는 것 또한 큰 어려움이 없었다. 이렇듯 디지털 화폐는 ‘효율성’을 장점으로 발 빠르게 우리 곁에 자리하게 되었다.

 디지털 화폐의 종류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자화폐(Electronic money)는 전자적으로만 교환되는 돈이나 증서로, 보통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선불카드 시스템에서 통용된다. 요약하자면 기존에 통용되는 실물 화폐를 디지털화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최근 7년 동안 카카오(카카오페이), 삼성(삼성페이)과 같은 대규모 기업들을 통해 대중들에게 상용화되었다. 이러한 전자화폐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무인기기(키오스크) 사용 시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결제하는 모습 또한 일상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암호화폐(Cryptocurrency)는 비은행권에서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로, 모든 거래자의 거래 장부를 공유하는 ‘블록체인 보안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이는 환율과 같은 기존 통화의 계산단위와 별개로, 독자적인 계산단위를 갖는 것이 큰 특징이다. 암호화폐는 최근 1년간 자산운용에 대한 이슈와 주식 투자 열풍을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이 그 예시이다.

 다음으로는, 각국의 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인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가 있다. 이는 실물 화폐를 대체할 미래 화폐로 주목받고 있으며, 브라질, 중국과 같은 국가에서도 상용화를 위해 여러 시도를 하고 있다. 예컨대 작년 4월에는 중국인민은행이 CBDC 위안(이하 디지털 위안)을 일부 도시에서 테스트한 사례가 있다. 또한, 중국은 지난 2월 추첨을 통해 총 1,000만(약 17억 원) 디지털 위안을 베이징 시민 약 5만 명에게 지급했다고 밝혔다. 한국중앙은행 역시 작년 4월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한 것으로 보도된 바 있고, 이러한 소식은 머지않아 CBDC가 상용화될 수 있다는 기대를 불러오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CBDC의 사용이 활성화되면 지폐와 같은 실물 화폐를 사용하지 않는 시대가 올 수 있다고 예측한다. 우리나라를 예로 들면, 지난 1월 tvN ‘미래수업’에서 디지털 화폐의 소개와 미래 화폐 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룬 바 있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세종대학교 홍익희 교수는 “우리는 지금 화폐 개혁의 변곡점에 서 있다.”라며, 통화의 변화를 인지하고 새로운 화폐를 학습하는 것에 동참할 것을 강조했다. 이처럼 디지털 화폐 개혁은 단순히 ‘돈’을 향한 관심이 아닌 미래 화폐의 ‘가치’에 대한 학습으로써 다가오고 있다. 투자의 바람이 크게 불고 있는 요즘, 미래 화폐의 가치를 공부해보는 것은 어떨까?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 한 발자국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