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인가 학살인가

지난달 26일 무기한 휴전 합의, 50일 동안 2천명 희생

고영두 기자
- 6분 걸림 -

   
 
지난달 26일 갑작스럽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무기한 휴전을 선포했다. 하지만 50일간 이어진 가자지구 공습은 무참했으며 팔레스타인 보건부 측은 사망자가 2천명이 넘어섰다고 밝혔다. 팔레스타인은 피해가 극심했던 반면 이스라엘 측의 피해는 미미하다. 양측의 충돌로 인한 사망자는 모두 팔레스타인이며, 유엔에 따르면 사망자 중 77%는 민간인이라고 한다. 이러한 수치는 양측의 충돌이 엇비슷한 힘을 가진 세력간의 ‘교전’이 아니라, 이스라엘군의 팔레스타인에 대한 ‘일방’적 공격이자 민간인 ‘학살’이라는 점을 말해준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 먼저 이 두 나라를 알아보자.

이스라엘은 지중해 동쪽 연안에 있는 세계 유일의 유대인 국가이다. 아랍계 원주민은 이 지역을 팔레스타인이라고 불러왔다. 아랍계 원주민들은 여기에 팔레스타인이라는 국가를 세우려 한다. 하지만 팔레스타인은 아직 정식 국가로 인정되고 있지 않고 있다. 팔레스타인은 1974년 유엔의 비회원 참관 ‘단체’가 되었다가 2012년 비회원 참관 ‘국가’로 변경됐다.

팔레스타인인과 유대인 간의 갈등은 20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19세기 말 유럽에서 민족주의가 발호하고 유대인들에 대한 핍박이 심해지자 유대인들은 자기들만의 독립국가를 세우자는 ‘시온주의’에 호응해 팔레스타인에 몰려들었다. 유대인들은 영국의 후원 아래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하고 아랍인들 대부분은 유대인의 집단적 이주를 제국주의적 식민지 침탈로 간주했다. 여기서 영국 정부의 협력은 수에즈 운하를 장악하려는 이유도 존재한다. 이렇게 2차 대전 직후부터 빼앗긴 영토를 되찾으려는 아랍계 원주민과 이들의 노력을 막으려는 이스라엘의 유대인은 현재까지 끝나지 않는 분쟁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평화 협상은 어땠을까? 두 국가 사이의 평화협상의 가장 성공적인 경험은 1993년에 맺어진 오슬로 협정이다. 이 협정에서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고, 이스라엘은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데서 양측의 영구적인 평화를 모색하는 협상을 시작한다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2001년 1월을 기점으로 이 협상은 깨졌다. 우선 이스라엘은 오슬로 협정에도 불구하고 서안에 유대인 정착촌 건설을 계속해서 진행해 왔다. 서안을 팔레스타인의 땅으로 보는 오슬로 협정을 어긴 것이다.

지난 7월 8일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가자기구는 이스라엘영토에 비해 매우 좁은 인구가 밀집되어있다. 검문소는 높이 8미터의 벽으로 둘러싸여 있어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감옥이 되어버렸다. 이런 좁은 땅에 폭격을 하는 것은 사실상 민간인에게 포격을 퍼붓는 것이다. 현재는 유대인이 더 많지만 팔레스타인의 출산율이 인구점유율이 늘어나는 것에 부담을 가져 나치제노사이드처럼 인종학살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다.

전쟁은 전쟁을 할 만한 이유와 명분이 있어야 하며, 경제적군사적 엇비슷한 관계여야 ‘전쟁’이라 할 수 있다. 20세기 초 일본이 한반도를 식민화한 것은 ‘전쟁’을 통해서가 아니다. 힘에 의한 일방적 행위였으며 딱히 명분을 들이 댈 필요가 없었을 뿐 아니라 군사적으로 ‘전쟁’을 할 상대가 아니었다. 지금 팔레스타인을 보면 구한말 우리의 상황과 다를 것이 없어 보인다. 유대인은 정치적 자본적으로 막강한 힘을 지녔음에도 미국에서는 영화, 언론을 통해 항상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여 여론까지도 손에 쥐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달 26일 휴전 합의를 했지만 언제까지 지속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부디 ‘정의’가 ‘자본권력’에 의해 무너지지 않길 바랄 뿐이다.

 

*참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중단시킬 방법은?」, 『아시아엔』, 2014.08.22

「전쟁 아닌 ‘팔레스타인 학살’」, 『경향신문』, 2014.07.13

「누구를 편드는 게 아니라 전쟁범죄에 반대하는 것일 뿐」, 『참세상』 , 2014.08.25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대해 알아야 할 '최소한'」, 『민중의 소리』, 2014.08.18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