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문 예의
죽은 이를 위한 예절, 얼마나 아십니까?
우리나라에서 조문은 상당히 중요한데, 혼례에 참석하지 못하더라도 장례에는 참석해야 한다는 인식이 있을 정도다. 특히 이러한 인식은 예전부터 내려오던 것으로, 과거에는 가족장(家族葬)이 있을 때 지인이 조문객으로 찾아오지 않는다면 망설임 없이 인연을 끊을 정도로 조문이 강조됐다. 그렇기에 조문은 혼례보다도 더욱 많은 예절을 요구한다. 이번 문화/축제에서는 우리나라의 조문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일제강점기 이후 오늘날 우리나라의 장례는 전통의 방법에 비해 매우 간편해져 3일장으로 진행이 된다. 다만 장례의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5일장, 7일장으로 진행되기도 하지만 조문의 방법에 큰 차이는 없다. 다만 그 집이나 상주의 종교에 따라서 조문 방법은 약간의 차이가 생긴다.
옷차림
남성의 경우에는 검은색 양복을 입으며, 검은색 양복을 구하지 못한 경우 되도록 회색이나 검은색에 가까운 옷을 입어도 된다. 와이셔츠는 화려하지 않은 단조로운 무채색 계열을 입는다.
여성의 경우에도 검은색 옷과 치마를 입는데, 검은색 옷이 없는 경우엔 무채색 계열의 옷을 입는다. 그리고 화장은 최대한 옅게 하며 액세서리는 차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핸드백이나 장갑과 같은 것을 착용한다면 검은색 계열로 맞춰주는 것이 좋다.
부의
부의금은 대개 홀수로 적어서 가는데, 그 이유는 홀수가 가진 상징성과 연관 지을 수 있다. ‘3’은 천지인(天地人)을, ‘4’는 죽음(死)을 뜻하는 것과 같이 예로부터 동양사상에서 홀수는 짝수보다 길한 성향을 띠고 있고 그리 인식되어 내려왔기 때문이다. 나아가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서 ‘짝수’는 음(陰)을, ‘홀수’는 양(陽)을 뜻하는데 이러한 것도 한몫 더한다고 본다.
분향과 헌화
옷과 부의금을 준비했다면 조문할 준비가 완료된 것이다. 상가에 도착하게 된다면, 발을 들이기 전에 외투와 모자 등은 미리 벗는 것이 좋다. 외투와 모자를 벗고 들어간 후에는 가장 먼저 상주(喪主)와 상제(喪制)께 순서대로 가볍게 목례를 올린 후 영정(影幀) 앞에서 바로자세로 서거나 무릎을 꿇는다. 이후 분향(焚香)이나 헌화(獻花)를 하면 된다.
분향은 향을 피우는 것이다. 우선 향을 한두 개 집고 향로 옆에 놓인 촛불에 불을 붙인다. 만일 촛불이 없는 경우 라이터나 성냥을 이용해 불을 붙인다. 이후 손가락으로 잡던지 손바닥으로 바람을 일으키거나 가볍게 흔들어서 불을 끈다. 여기서 결코 입으로 불어서 끄면 안 되는데, 이는 큰 실례이기 때문이다. 불을 줄였으면 두 손으로 공손히 향로에 꽂으면 된다. 만일 두 개 이상 향을 집었을 경우에는 반드시 향을 하나씩만 꽂도록 한다.
절
조문을 끝내기 전 상주와 연분이 있으면 약간의 대화를 섞어도 된다. 다만 “얼마나 애통하십니까?”와 같이 최대한의 격식을 갖추어 말해야 하며 결코 큰 소리를 내지 않는다. 또한 고인의 이야기는 최대한 자제하며 이야기는 짧게 하되 길어질 것 같다면 나중에 밖으로 불러 이야기 하는 것이 좋다.
조문 접대
만일 자신이 상주나 상제일 경우에는 조문객을 맞아야 할 것이다. 장례식은 최대한 정적이고 엄숙한 분위기를 위해 화려한 장식물들은 전부 떼어내는 것이 좋다. 옷걸이가 상당히 필요케 될 것이므로 옷걸이를 넉넉하게 준비해두면 준비는 끝이다.
참고로 상복을 입은 사람들은 삼베로 만든 완장을 차야 한다. 남자는 왼쪽에, 여자는 오른쪽에 착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또한, 완장에 그어진 검은 줄에 따라 상주와 상제를 구분하는데, 두 줄인 경우에는 상주와 고인의 직계가족이 착용하며 한 줄은 고인의 형제, 또는 손자손녀의 방계가족이 착용한다. 줄이 없는 것은 기타 복인들이 착용한다. 여성은 머리에 리본을 착용하는데, 고인이 남성이면 왼쪽에, 여성이면 오른쪽에 착용한다.
유일탄 기자
yit3920@kunsan.ac.kr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