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마음 건강과 취업의 장을 넓히는, 학생상담센터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심리 상담 및 프로그램과 취업 정보 제공으로 학우들에게 전방위적으로 지원해

김승원 기자
- 5분 걸림 -

대학생활 중 말하지 못 할 고민이 있거나 졸업을 앞두고 취업 걱정을 하는 학우가 있다면, 학생상담센터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를 주목해 보자.

먼저, ▲학생상담센터는 우리 대학 학생들의 △정신건강 △건강한 대학생활 △전인적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심리 상담뿐 아니라 자신의 솔직한 모습을 찾아가고자 하는 학우들을 위해 심리 검사 및 예방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심리 상담의 유형은 △개인 상담 △집단상담 △위기 상담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개인 상담은 일대일 대면을 통해 혼자 해결하기 힘든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전문 상담자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이다. △행동과 습관 △우울과 불안 같은 정서 △성격 △학업 △진로 △대인관계 적응 등 개인적인 부분을 상담한다. 상담의 횟수는 상담자와 학생이 의논해 10회를 기준으로 조정하며, 상담 내용과 사적인 정보는 비밀이 유지된다. ▲집단상담은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소규모로 모여 몰랐던 자신을 알아가고 타인을 이해하며 참여자들의 성장을 돕는 모임으로,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구조화 상담은 정해진 주제에 따라 체계적으로 진행하는 상담으로,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공동의 목표를 달성한다. △비구조화 상담은 정해진 주제 없이 참여자들의 욕구에 따라 집단의 목표, 과제, 활동 등이 정해지며 참여자들의 자발성과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상담으로, 깊은 수준의 심리적 통찰과 이해를 경험할 수 있다. ▲위기 상담은 재학생의 △자살 위기 △매체 중독 △물질 중독 등과 같은 위기 문제로 도움이 필요할 경우 위기 개입에 따른 맞춤형 상담이다. 또, 상담 이외에도 우리 대학 재학생의 역량을 향상하기 위해 진로, 자기 조절, 대인관계 역량 개발로 나누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진로 목표 설정 및 자기 이해, 채용 트렌드 파악하며 진로 장벽을 극복하고, 합리적 의사결정 등을 기를 수 있는 △진로 설정 프로그램과 자존감 향상, 정서 조절 프로그램, 건강관리 프로그램 등을 기를 수 있는 △맞춤형 심리 건강 프로그램이 있으며 대인관계 향상, 대화기술 향상 등에 도움이 되는 △대인관계 개발 프로그램까지 운영한다. 상담 및 프로그램은 제2학생회관에 위치한 학생상담센터에 직접 방문해 신청 및 담당자 전화 신청(☎469-7467)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가능하다.

다음으로, 취업 고민이 있는 학우들을 위해 우리 대학 취업지원실에서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를 운영한다.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는 △진로지도 및 취업 지원 서비스 △입사지원서 클리닉 △청년 고용정책 홍보 △청년층 취업 지원사업을 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전라북도, 군산시 공동의 예산으로 운영되며, 지역고용센터를 직접 방문하는 번거로움 없이 전문 상담사에게 진로 상담, 취업 상담, 취업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는 원스톱 청년 고용서비스 지원 센터이다. 취업을 앞두고 있는 학우, 취업의 전반적인 정보가 궁금한 학우들이 이용할 수 있다.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에서는 진로지도 프로그램과 취업 지원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진로 지도 프로그램은 △직무 이해 △진로 캠프 △진로 취업 튜토리얼 등 학우 각자의 진로에 따른 직무에 관해 파악하며, 분석 및 정보를 제공받는 프로그램이다. ▲취업 지원 프로그램은 △채용 박람회 △모의 취업 경진대회 등 실전에 필요한 구직 능력과 취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채용 정보를 습득하며 취업에 필요한 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홈페이지에 통합정보시스템과 동일한 학번과 비밀번호로 로그인한 후, 프로그램 신청 탭에서 신청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 대학의 학생상담센터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에 대해 알아보았다. 심리적으로 어려움이 있거나 취업 고민이 있다면, 학생상담센터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를 잘 이용해 도움을 받아 보자.

[사진 1] ▲ 우리 대학 학생상담센터 / 촬영 : 김승원 기자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