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마음을 전하는 5월

각종 기념일의 의미와 풍습을 되새기며

이로운 기자
- 10분 걸림 -

 ‘말’로 마음을 전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때문에 평소 우리는 기념일을 통해 마음을 전하곤 한다. 하지만 기념일의 정확한 의미를 모른 채 주고받는 선물이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5월에 자리 잡고 있는 각종 기념일의 유래와 풍습을 살펴보며, 그 의미를 알아보도록 하자.

 

어버이날

 

‘낳으실 제 괴로움 다 잊으시고’ ‘기를 제 밤낮으로 애쓰는 마음‘

 매년 5월 8일이 되면 전국적으로 들려오는 노래 마디와 함께 하루 종일 훈훈한 분위기가 감도는 날이 있다. 바로 ‘어버이날‘이다. 이 날은 낳아주고 길러주신 부모의 은혜에 감사하고 공경하는 마음을 가지고자 기념되는 날이다.

 이 날의 유래를 찾아보자면, 어버이날은 1956년 한국전쟁이 끝난 후 피폐해진 환경 속에서 어머니들이 양육은 물론 생업에도 책임이 무거워졌기 때문에 이를 위로하고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당시에는 어버이날이 아닌 ‘어머니날’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다. 후에 1973년 어머니는 물론 아버지의 수고 또한 기리고자, 어머니와 아버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인 ‘어버이‘를 사용하여 어머니날이 ’어버이날‘이라는 명칭으로 바뀌게 되면서 현재까지 이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이 날 자식들은 쑥스러운 듯이 미리 준비해두었던 카네이션을 부모님의 왼쪽 가슴에 달아드리거나 카네이션 화환을 선물하며 부모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사람들에게 ‘어버이날’ 하면 생각나는 것을 떠올려 보라 한다면 십중팔구 카네이션을 생각해낼 정도로, 카네이션은 어버이날을 상징하는 꽃이 되었다. 그러나 왜 어버이날에는 다른 꽃이 아닌 카네이션을 선물하게 되었는지 한 번쯤 의문을 가져봤던 적이 있을 것이다. 어버이날에 카네이션을 선물하는 문화의 유래를 살펴보자면, 그 기원은 미국으로, 필라델피아 출신 여성인 아나 자비스가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1907년 모친의 2주기 추모식에서 돌아가신 어머니를 기리는 마음으로 흰 카네이션을 교인들에게 나누어 주었고, 이를 계기로 윌슨 대통령 대에 부모를 기리는 날을 제정하여 전국적으로 보급하였으며, 후에 부모님이 살아계시는 사람에게는 빨간 카네이션을, 부모님이 돌아가신 사람에게는 흰 카네이션을 주는 문화가 정착되었다. 이러한 문화가 미국에 신탁통치를 받았던 한국에까지 전파되어 현재까지 어버이날 하면 카네이션의 이미지가 떠오르게 된 것이다.

 이렇듯 어버이날은 붉은색 꽃송이와 함께 부모와 자식 간의 끈끈한 사랑과 유대를 다시금 확인함으로써, 자식들은 부모의 소중함에 대해 사유하고, 부모 또한 자식에 대한 사랑을 아낌없이 표현하여 ‘가족‘이라는 공동체의 소중함을 다시 한 번 깊게 느껴볼 수 있는 중요한 기념일이라 할 수 있다.

 

스승의 날

 

 스승의 날은 교권을 존중하고 스승을 공경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제정한 범세계적인 기념일로서, 현재 많은 나라에 존재하고 있는 기념일이다.

 한국의 스승의 날은 매년 5월 15일로, 그 시작은 1958년 충청남도 논산에 위치한 강경여자고등학교에서 청소년 적십자(현 RCY, 구 JRC) 단원들이 퇴직 또는 병중에 있는 교사들을 위문 차 방문한 것이 그 효시로 알려져 있다. 이를 계기로 1963년 제12차 청소년 적십자사 중앙학생협의회에서 5월 24일을 '은사의 날'로 정하여 기념할 것을 권장하였고, 1년 뒤인 1964년에는 '은사의 날'이 '스승의 날'이라는 명칭으로 바뀌게 되었으며, 날짜 또한 한국이 국제 적십자 위원회에 가입한 날짜인 5월 26일로 바뀌었다. 현재와 같이 5월 15일이 스승의 날로 지정된 것은 1965년의 일로, J.R.C. 총회에서 민족의 스승이라 일컬어지는 세종대왕의 양력 탄신일인 5월 15일을 스승의 날로 확정 짓게 되면서부터이다. 이후 스승의 날은 1973년 정부의 서정쇄신 방침에 따라 사은행사를 규제하게 되면서 잠시 중지되기도 했지만, 1974년 대한 교육연합회에서 스승의 날 부활에 관한 건의서를 제출하는 등 지속적으로 스승의 날에 대한 긍정적인 여론을 조성해 왔으며. 마침내 1982년 스승을 공경하는 풍토를 조성하고자 ‘각종 기념일에 관한 규정’에 스승의 날이 포함되면서 국가기념일이 되었고, 다시금 부활하게 되었다.

 이처럼 많은 변화를 거쳐 오며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스승의 날은 당일 제자가 스승에게 가르침에 대한 감사의 마음으로 카네이션이나 넥타이 같은 소소한 선물을 드리거나 퇴직한 은사를 찾아가 스승과 제자 간의 간담을 나누는 행사를 통해 그 명맥이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행사를 통하여 스승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표시하고, 사제관계를 증진시키는 데에서 스승의 날은 소중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스승의 날, 학급 친구들 모두가 합심하여 열심히 이벤트를 준비하던 기억은 아마 모두가 한 번쯤은 경험 해본 추억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때 그 시절을 되새겨보며, 화창한 5월 날씨의 중반을 스승과 함께 보내보는 것은 어떨까.

 

성년의 날

 

 매년 5월 셋째 주 월요일은 성년의 날이다. 이는 사회인으로서의 책무를 일깨워주며, 성인이 지녀야 할 자부심을 부여하기 위하여 지정된 기념일이다. 성년식은 예로부터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중요한 통과의례로 여겨져 왔다. 관혼상제는 우리 조상들이 예부터 중요하게 여기는 가정 행사로, 사람이 살면서 겪는 중요한 4가지 의식인 관례, 혼례, 상례, 제례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여기에서 '관례'가 바로 성년례를 의미하는 것인데, 조선 시대는 전통적으로 유교 중심의 사회였기 때문에 관례를 중심으로 성년식을 치렀다. 남자는 15세가 넘으면 길일을 택해 일가친척과 하객을 초청하여 의식을 올렸다. 그리고 여자의 경우 머리에 쪽을 진 후, 그 위에 족두리를 얹고 용잠을 꽂은 후에야 성인이 될 수 있었다. 실제로 관례는 혼례절차를 포함시켜서 행해지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러한 성년례는 고려 이후 조선 시대에 이르러서는 보편화된 제도였지만, 조선 말기 조혼 경향과 개화기 이후 서서히 사라지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1973년부터 1974년에 걸쳐 각각 4월 20일에 성년의 날 기념행사를 하였으나, 1975년부터는 ‘청소년의 달’인 5월에 맞추어 날짜를 5월 6일로 바꾸었다. 그러다가 1984년에 이르러 현재와 같은 5월 셋째 월요일에 성년의 날을 기념하고 있다. 이날은 그 해에 만 19세가 되는 성년을 각 직장 및 기관 단위별로 한자리에 모아 기관장의 훈화와 모범 성년에 대한 표창, 그리고 간단한 다과회 등을 가지며, 청소년들을 위한 범국민적인 행사가 개최되는데, 특히 최근에 와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성년례는 성균관에서 전통격식으로 행해지고 있다.

 오늘날 성년의 날은 ‘장미,향수,키스’로 상징된다. 과거와 달리 성년식을 치르지 않고 주변 사람들에게 선물을 받으며 축복을 받는다. 선물의 의미를 살펴보자면, 우선 장미의 꽃말은 열정, 사랑, 기쁨이다. 성년이 되면서 책임감을 가지고 생활하라는 의미와 함께 열정, 사랑, 기쁨으로 모든 일이 잘되기를 바란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향수의 의미는 '언제나 나를 기억해 주세요.' 라는 뜻으로, 보통 연인이나 좋아하는 이성에게 선물하곤 하지만, 성년의 날 향수는 초심을 잃지 말고, 언제나 그 마음을 간직하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키스는 사랑하는 사람에게 받는 선물로, 부모님의 보호 아래에 있다가 성인이 된 만큼 스스로 책임을 가지라는 의미를 지닌다고 한다.

 사람들은 모두 성인이 되는 과정을 거치고, 축하를 받는다. 올해 대학에 들어온 19학번 신입생들 역시 그렇다. 현재 우리 대학은 매년 돌아오는 성년의 날, 신입생들에게 장미 한 송이를 선물하는 풍습이 있다. 이처럼 작은 일을 기념하고, 선물을 주고받는 행위는 즐거운 일이다. 이번 기회에 쑥스러워 전하지 못했던 마음을 누군가에게 전해보는 것은 어떨까?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특별함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