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MZ세대 대표적인 소셜미디어 ‘틱톡’ 규제

전 세계 퍼지는 틱톡(TikTok) 안보 우려에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 들려와

김현수 수습기자
- 5분 걸림 -

틱톡은 15초 분량의 짧은 영상 클립을 공유할 수 있는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플랫폼이다. 틱톡은 ‘쇼트 폼’의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많은 이들이 숏폼 콘텐츠를 향유하는 데에 문을 연 바 있다. 이런 틱톡의 성장세는 지난해, 인스타그램과 트위터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앱으로 올라섰다. 실제로, 시장조사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틱톡은 지금까지 40억 회 이상 다운로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2분기(4∼6월) 전 세계 틱톡커들의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95분으로 유튜브(74분), 인스타그램(51분), 페이스북(49분)을 훌쩍 넘어선 것이다. 모바일 시장분석 서비스 앱에 이르는 틱톡 전체 이용자 중 77.5%가 13∼34세라고 분석되며, 틱톡이 전 세계 MZ 세대의 놀이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셈이다. 그러나 현재 MZ세대들의 대표적인 SNS 놀이터인 틱톡을 각 국가에서 금지하고 있는 상황인데, 이번 기사에서는 각 국가가 현재 틱톡을 금지 및 재제하려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틱톡이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며 미국을 필두로 유럽, 아시아 각국이 틱톡 퇴출 움직임에 나서면서 틱톡의 폭발적 성장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최근 한 달 동안 프랑스, 영국, 호주, 인도 등도 잇따라 틱톡 금지에 동참하고 나섰으며, 지난 3월 미 하원에서 열린 ‘틱톡 청문회’에서 의원들은 “틱톡은 스마트폰에 있는 정찰풍선”이라며 매섭게 공격했다.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는 주장이 나온 이유는, 틱톡의 자료수집 능력이 엄청나다는 것이다. 틱톡은 사용자가 특정 영상을 보는 시간과 댓글 게재 여부 등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해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에 ‘틱톡이 본인보다도 사용자를 더 잘 알고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이런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통해 대표적으로 개인정보 유출, 가짜뉴스의 확산, 알고리즘의 악성 이용 등의 문제가 국가 안보에 위협을 불러일으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틱톡의 본사는 중국인데, 2017년 도입된 “기업과 시민은 국가 정보 업무를 지원하고 협력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중국 국가보안법에 의해, 중국 정부가 사람들의 데이터를 모아 대미 첩보활동이나 정치 선동전등에 활용할 우려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지난해 6월 미 온라인 매체 버즈피드가 바이트댄스 본사 회의 녹취록을 입수해 정보유출 의혹을 보도하는 등 정황증거들이 제시되면서 다시 퇴출론이 힘을 받기 시작했다. 해당 녹취록에는 “중국 안에서 모든 것이 보인다”라는 틱톡 직원의 발언 등이 담겨 있었다.

이처럼 틱톡의 엄청난 데이터를 중국정부가 악용할 수 있으므로 안보 우려에 각 국가에서 틱톡을 금지하고 있는 분위기다. 하지만 이런 틱톡 금지가 과연 잘 실행될 수 있는지도 의문이다. 틱톡은 Z세대 사이에서 특히 지배적인 플랫폼으로써, 틱톡을 금지하는 것이 정치권 표 싸움에서 불리한 고지를 가져갈 수 있으며, 더불어 틱톡 사용자를 비하하는 느낌이 들 수도 있다. 대부분 국가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 주고 있는데, 틱톡의 금지는 표현의 자유를 막는다는 해석에서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MZ세대들의 대표적인 놀이터가 된 틱톡, 틱톡은 다양한 즐길 거리를 제공해 주지만 언제 나의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알고리즘의 덫에 빠져 잘못된 사고를 할 수 있다. 현재 틱톡을 사용하고 있다면 즐거움과 편리함에 가려진 틱톡의 양면성도 생각해 보는 것이 어떨까?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