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세라믹콘텐츠디자인학과 폐과

학사구조 개편에 대한 학교 각 측의 입장에 대해

유지혜 기자
- 8분 걸림 -

이번에 우리 대학에서 감축되는 입학 정원은 2015학년도에는 현 정원 대비 3%, 2016학년도에는 97명(5%), 2017학년도에는 38명(2%)으로, 2017학년도까지 총 193명으로, 이번 감축에는 세라믹콘텐츠디자인학과 뿐만 아니라 다른 학과 또한 학부제를 통해 감축될 예정이라고 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 세라믹콘텐츠디자인학과 학생 측에서는 “대학 측의 일방적인 통보이다”, “학교의 주인은 학생인데, 군산 예술 대학 주인은 교수이다”라며 호소문을 붙이는 등 반발에 나섰다.
이에 대해 우리 대학 각 대표들과 학생들, 학부모들에게 의견을 물어보았다.

■ 김동휘(예술대학 학생회장·4), 이찬열(세라믹콘텐츠디자인학과 학회장·3)
22일 저녁 오후 늦게 폐과에 대한 소식을 듣게 되었는데, 이때에는 정말 폐과가 될 것인가에 대해 의심을 했다. 그러나 폐과가 거의 사실화되어가고 있다. 이것이 학교 측의 일방적인 것이 아닌 행정적인 절차를 통한 결정이라는 것은 알지만, 교수님들을 통한 회의로 폐과처분을 한 것은 잘못된 일이다. 학교의 주인은 학생이기 때문이다. 차라리 다른 학과와 결합하여 학부제 체제로 해결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 신중복(총학생회장·4)
다른 방법들이 있지 않을까 찾아보고, 해줄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해주고 싶었다. 하지만 엎어진 물을 온전히 주워 담을 수 없듯, 이미 벌어진 일에 대해 처음처럼 없는 일로 되돌릴 수는 없었다. 지금 할 수 있는 일은 세라믹콘텐츠디자인학과와 학교랑 이야기를 통해 서로 할 수 있는 방법은 모두 동원하여 어떤 방법으로든 살리는 것이다.
결과는 바꿀 수 없지만 그 과정이 잘못됐다고 하면 사과를 받아야 하고, 결과 또한 바꿀 수 있다고 하면 최선을 다해 문제점을 찾고 제대로 대응해 나가야한다고 생각한다. 현재, 이번 폐과과정에 대해 말로만 들었기 때문에 정확한 자료를 얻기 위해 대학본부에 공문을 내어 객관화된 지표를 달라 요청하였으며, 그 자료를 받아 샅샅이 파헤쳐 보려고 하고 있다.

■ 세라믹콘텐츠디자인학과 학생 측
학교 측도 아닌 학회장을 통해 22일 폐과가 결정됐다는 일방적인 통보를 받았다. 입학 정원이 15명 이하의 해당학과는 폐과라는 학교 지침 등 부당한 평가 기준으로 학생들의 의견도 없이 폐과를 확정한 것이다. 대학교는 학생을 위해 있는 것이며, 학생으로 인해 유지 되는 곳이다. 우리가 이 학교의 주인이 아닌 것 같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폐과를 결정하기 전에 해당학과 학생 등과의 대화를 통해 구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순서인데도 불구 이를 지키지 않아 신뢰를 무너뜨렸다. 학생들의 미래는 뒷전으로 사리사욕만을 채우는 학교 측은 각성해야 한다.

■ 세라믹콘텐츠디자인학과 학부모 측
학생들과 같은 입장으로, 폐과에 대해서는 반대한다. 학과를 다시 살리는 것은 가능한 것이 아니냐. 학생들의 전과 자체는 생각이 없다. 총장과도 면담을 했지만 학칙과 상위법만 언급할 뿐 절충안을 모색할 생각이 없어보였다. 속이 상하고 안타까울 뿐이다.

■ 대학 관계자 측
향후 대학들의 미충원 확산이 가시화되면서 적극적인 대학구조개혁 방안 추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등장하여 교육부는 등급에 따른 구조개혁 조치를 내리게 되었다. 현재 우리 대학의 등급은 ‘보통’으로, 정원 평균 수준을 감축해야 하며, 정부 재정지원사업에도 참여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등급이 ‘미흡’이나 ‘매우미흡’ 등급으로 떨어지게 되면, 정원을 평균 이상 혹은 대폭 감축해야 하며 많은 면에서 제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기에 국립대로서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교육부 방침에 따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현재 우리 대학에서 주로 받고 있는 재정지원사업으로는, △지방 대학 특성화 사업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LINC △BK21 플러스 등이 있다. 만약, 방침에 따르지 않는다면 이러한 재정지원사업은 물론, 국가장학금이나 학자금 대출에도 제한이 생겨 학생들도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이다. 또한 15명 미만이 구조조정을 하는 이유도, 한 강의의 정원이 15명이기 때문이다. 만약 적은 인원이 분산되어 강의를 듣게 된다면, 대학 재정 등이 곤란해지고, 이에 따라 강의의 질도 낮아지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일게 될 것이다.
한편, 어떠한 의견도 받지 않고 무조건적인 통보라는 학생들의 반발에는 안타깝지만, 많은 이야기를 듣지 못했어도 충분한 논의와 절차를 거쳐 도출해 낸 결과라고 말해주고 싶다. 현재도 학과 폐지와 관련해 해당학과 학생과 학부모들과 대화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며 지난달에는 학회장급 간부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도 한 바가 있다. 학부제에 대해서도 이야기가 오고갔지만, 이미 교무회 최종 승인을 거쳐 교육부에 조정안을 제출한 상태기 때문에 결정을 번복하기는 어려우며, 학부제 체제를 포함한 안도 교육부에 제출한 것이 아니어서 대안이 될 수 없다. 또한 내년부터 신입생을 선발하지 않더라도, 재학생들에게 졸업 등 피해는 없을 것이며 마땅한 대안을 세워주겠다고 말하는 바이다.
이번 개편안은 구성원들이 대승적 견지에서 대학의 앞날을 걱정하며 뼈를 깎는 고통을 감내해주었기에 도출 가능한 결과였다. 앞으로 개편안을 성실히 수행해가며 장·단기적 모든 측면에서 대학 경쟁력을 강화해 새만금과 함께 세계로 나아가는 지역 제일의 학부교육 중심 특성화대학으로 거듭 태어나겠다.

이상으로 학사구조 개편으로 인해 폐과에 직면한 해당학과 학생과 학부모, 대학 관계자 및 학생회 의견을 들어 봤다. 학습권 보장과 학과 유지를 주장하는 학생 측과 대학 입학인구의 감소라는 구조적 문제와 그에 대한 교육부의 정책, 국립대로서 재정적 취약성과 생존으 문제에 직면한 대학 본부의 입장은 모두 제각각 타당하다. 모름지기 대학은 학생들은 위해 존재한다는 관점에서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대학 행·재정 역량을 강화하는 정책이 정의의 저울처럼 작용하는 소통과 지혜가 절실히 필요하다.

유지혜 기자
wlgp3133@kunsan.ac.kr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