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세상을 만든 다양한 신들의 이야기

우리가 잘 몰랐던 세계의 창세신화

강유진 기자
- 7분 걸림 -
   
 

누구나 한번쯤은 신화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어린 시절 즐겁게 읽었던 그리스신화부터 학창시절 국사책에 나왔던 단군신화까지 어떤 신화든 우리는 신화를 사실이 아닌 환상적인 이야기로만 생각해 왔다. 그러나 신화에는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흥미로운 의미들이 쏙쏙 숨겨져 있다. 예를 들면, 어느 민족의 신화든지 시조를 신격화하고 초인간적으로 미화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신화를 통해 자신들에게 신성하고 고귀한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민족이나 집단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공동체의식을 형성하려는 시도였다.
또한, 어느 민족의 신화이든 공통적인 것은 태초의 사건이나 자연과 사회 현상의 기원과 질서를 해명하고, 신과 인간의 관계를 설명한다는 점인데, 이러한 점은 창세신화에서 더 자세히 찾아볼 수 있다. 세상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다양한 생각, 창세신화의 세계를 살짝 들여다보도록 하자!

물에서 시작된 세상, 일본
태초에 ‘혼돈의 바다’가 있었는데, 이 바다는 거대하고 기름기가 많았으며 온갖 것들이 들어 있었다. 천계에서 이 바다를 내려다보던 세 명의 신들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남매, 그리고 많은 남신과 여신들을 만들어냈다. 신들은 이자나기에게 보석이 박힌 마법의 창을 주고 세상을 창조하도록 했다. 이에 이자나기가 그 창으로 혼돈의 바다를 휘저었다가 꺼내자, 창끝에는 바닷물 몇 방울이 응결되어 있었다. 그 물방울들이 도로 바닷속으로 떨어지면서 오오야시마가 되고, 이것이 현재의 일본열도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이자나기는 누이인 이자나미와 결혼하여 혼슈와 규슈, 시코쿠를 낳았다. 그리고 여러 다른 신들도 낳던 도중 불의 신을 낳던 이자나미가 그만 죽고 말았다. 이자나기는 이자나미의 죽음을 슬퍼하여 황천으로 쫓아간다. 두사람은 함께 황천을 빠져나가려 하지만, 이자나기가 규칙을 어겨 혼자 돌아올 수밖에 없었고, 황천에 다녀온 부정한 몸을 씻기 위해 목욕을 하게 됐다. 이때 왼쪽 눈을 씻을 때는 태양신이 태어났고, 오른쪽 눈을 씻을 때는 달의 여신이, 코를 씻을 때는 바다의 신이 태어났다. 그러나 이 중 바다의 신이 제대로 통치하지 못해 이자나기에게 쫓겨나고, 이에 '이즈모노쿠니'로 내려가서 사람들을 괴롭히던 머리 8개 달린 커다란 뱀을 퇴치하고 나라를 건설한다. 그리하여 직계 증손자인 와카미케누 노미코토는 일본의 초대 천황 '진무천황'이 되었다.

반고의 죽음에서 탄생한 세계, 중국
천지가 아직 창조되지 않았던 옛날. 우주는 혼돈과 어둠으로 가득한 알 모양의 덩어리였다. 그 알 속에서 거인신 반고가 오랜 세월 잠을 자고 있었는데 반고의 몸은 계속 자라나 도저히 알 속에서 더 잘 수가 없었다. 그래서 반고는 알을 깨고 밖으로 나왔고 깨진 알 속의 가볍고 밝은 기운은 위로 올라가 하늘이 되었고 탁하고 무거운 것은 밑으로 가라앉아 땅이 되었다. 후에 반고는 하늘과 땅이 자신을 덮칠까 두려워 하늘과 땅을 팔과 다리를 이용해 받치고 있게 되었다. 이후 세월은 흐르고 흘러 그의 사명도 끝나고, 그의 힘도 모두 바닥이 나 반고는 맥없이 쓰러져 죽고 말았다. 반고가 죽으면서 내뿜은 마지막 숨결은 바람, 구름, 안개가 되었고 왼쪽 눈은 태양이, 오른쪽 눈은 달이 되었으며 머리털과 눈썹은 별이 되어 무수히 밤하늘에 빛나게 되었다. 반고의 몸통과 손발은 산으로, 그의 피는 강물이 되어 흘렀다. 살은 논과 밭으로 변했고 뼈와 이빨은 각종 귀한 광석과 금속이 되어 땅 속에 묻혔으며, 피부에 나 있던 솜털은 나무, 풀, 꽃이 되어 자랐다. 그리고 인간을 창조한 것은 여와인데, 여와는 몸은 뱀의 모습이고 만물을 창조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와는 흙을 반죽하여 자신과 닮은 형태를 만들어 냈다. 하지만 자신이 일일이 손으로 빚는데는 한계가 있어 긴 새끼줄을 흙탕물에 넣고 휘젓다가 위로 뿌려 흙탕물 방울방울 속에서 인간이 태어나게 한다. 이런 방식으로 흙탕물로 대량 생산한 인간은 천박한 신분이 되었고 여와가 손수 빚어 만든 인간은 고귀한 신분이 되었다고 한다.

우리는 모두 단군의 자손, 대한민국
태초에 음양이 갈라지지 아니하고 혼란스럽고 몽롱한 채 오래 닫혀 있었다. 그런데 상계에 큰 신이 한 분 있었으니, 그가 바로 환인이다. 그는 온 세상을 다스리는 무한한 힘과 지혜를 지니고 있었다. 그의 형체는 드러나지 아니하되, 하늘의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하고 수많은 작은 신들을 거느렸으며, 그가 있는 곳은 수만 리나 떨어져 있으되, 언제나 밝게 빛났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한국 신화에는 환인이 인간을 창조하는 과정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것은 아마도 한민족이 환인에 의해 창조된 인간으로 단군과 동등한 자리매김을 하는 것보다 한민족 모두가 단군의 자손임을 내세워 민족 동질성을 강조하기 위함이 아닐까?

창세 신화는 단순히 호기심 넘치는 이야기나 신묘한 스토리가 아니다. 신화는 인간이 시간을 인식함으로써 생겨난 존재론적 고민을 해소하기 위한 일종의 문화적인 약이다. 모든 것들이 새롭게 생성되던 바로 그때, 그 태초의 순간을 신화는 자신의 고유한 이미지로 승화시킨다. 신화속에는 과거뿐만 아니라 현대의 이미지도 녹아있다. 즉, 신화를 통한 원초적 체험을 통해 현재의 문제를 극복할 힘을 얻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신화를 통해 최초의 시간을 지금 여기서 다시 경험하게 된다.

강유진 기자

kangj1671@kunsan.ac.kr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