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열정과 이해관계 - 앨버트 허쉬먼

김승현 옮김, 나남출판(1994)

정은해 선임기자
- 6분 걸림 -

누구라도 한번쯤은 ‘친한 친구와 돈거래를 하지 않는다.’는 말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심지어 부모님께 가훈이라도 물려받는 것처럼 정색을 하고 앉은 자리에서 들은 사람도 있을 듯하다. 어쨌든 이 말을 들어 본 사람들이라면 또 그 의도에 큰 반대를 하지 않을 것도 상상하고 남음직 하다. 여기서 잠깐 이 말의 논리적 전제를 한 번 생각해보자. 이 말은 원래 ‘친한 친구와는 모든 것을 함께 할 수 있다.’에서 시작되고, 그러나 ‘돈거래만큼은 친구간의 관계를 끝장 낼 수 있다.’를 거쳐, 따라서 ‘친한 친구와는 돈거래를 아예 하지 않는 것이 좋다’라는 의미로 전달되었을 것이다. 이렇게 그 말의 전제들을 따라가다 보면 결국 우리 사회가 우정이라는 ‘열정’ 보다는 경제적 이익이라는 ‘이해관계’를 좇아 변화되었다는 사실을 손쉽게 확인 할 수 있다. 과연 어떻게 이런 일이 생길 수 있었을까?

   
 
살아가다 보면 머리가 내린 올바른 판단을 뻔히 눈앞에 두고도 몸이 시키는 본능-열정을 따랐다가 낭패를 본 경험들이 생기게 된다. 그만큼 우리의 열정은 우리 스스로도 억누르지 못할 만큼 강하기 때문이다. 시험이 내일인데도 불구하고 오늘 친구들과 술잔을 기울였던 시간들을 생각해본다면 쉽게 동의를 하게 될 것이다.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진 경제학자들 모두에게 그 뛰어난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는 경제학자 앨버트 허쉬먼(Albert O. Hirschman)은 이러한 현상, 즉 본능을 배반하고서라도 합리적 판단(특히 경제학적 관점)을 따르게 된 현상을 우리들 삶의 중심 가치가 ‘열정(Passions)’에서 ‘이해관계(Interests)’로 바뀌었기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이 책에서도 등장하고 있는 이탈리아의 철학자 비코(Giambattista Vico)의 말을 인용하면서 저자의 의견을 조금 더 들여다보자. 데카르트적 사유에 반대하면서 진리의 기준을 인간의 행위에 두고자 했던 비코는 인간 존재의 본성이 원래 잔혹함과 탐욕, 그리고 남을 다스리려는 욕망으로 가득 차 있다고 보았다. 열정의 차원에서 보자면 이렇게 인간은 통제할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이다. 그러나 국가 중심의 사회가 구성되면서 인간의 가치를 자연적 상태가 아니라 사회 구성원의 자격으로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 열정들을 다스려야 하는데, 한 가지 큰 난관에 부딪힌다. 인간의 열정이라는 것이 그렇게 쉽게 다스려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열정은 오직 같은 크기의 다른 열정으로만 대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렇게 열정에 대항하기 위해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사회계약이론’이 탄생하게 되었다. 사회계약이론을 통해 우리의 잔혹함이라는 열정은 이제 국방제도 안에서 용맹스러움과 힘, 탐욕스러움은 상업제도 안에서 부(富), 그리고 남을 다스리려는 욕망은 정치제도 안에서 지혜로움이라는 합리적 능력으로 탈바꿈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열정에 대항하는 방식의 열정’이라는 원리는 사회적, 정치적 이론으로까지 흡수·확장되면서 권력분립의 원칙에 대한 지적 기초를 이루게 된다. 제도 내에서 인정받는 인간의 행위가 다시 제도 안에서 그 제도를 유지하는 진리의 기준이 되어 결국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고자 하는 단순한 열정 차원의 욕망을 ‘합리적 이기심’으로, 그리고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도덕적 덕목으로까지 인정하기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그 시대의 부자들이 존경하는 인물군의 상위를 차지하는 현상을 보면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이해관계라는 용어는 열정의 영역을 몰아내고 공사의 영역 모두에서 인간사 전반을 처리하는데 보다 이성적이고 긍정적인 의미를 갖게 된다.
다소 중립적인 태도를 취한 저자의 설명을 따라가다 보면 국가주도의 자본주의가 성립하게 된 인간의 내면적 배경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끝내 머릿속에 남는 의문은 과연 우리가 살고 있는 이 국가, 이 체제-자본주의를 우리 스스로 선택했느냐 하는 점이다. 우리 스스로 ‘열정’을 내려놓고 계약이론을 기반으로 이 사회가 성립되었다는데, 문득 그 ‘계약서’를 한 번도 본적이 없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왜일까.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오피니언연재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