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학문의 소통과 융합을 위한 提言

군산대언론사 2
- 3분 걸림 -

최근 교육부는 문·이과를 통합하는 교육과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미래의 지식정보 사회에서 인문·사회 및 과학·기술에 대한 기초 소양을 통해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적 기술 창조력을 갖춘 인재를 배양함이 그 목표다. 아마도 전 세계적으로 미래 교육의 승패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를 길러낼 수 있느냐의 여부에 달려있음을 누구도 부인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에서 수많은 관광객의 발길을 멈추게 하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의 미소에는 스푸마토란 대기원근법의 과학원리가 담겨있다. 스티브잡스가 대학에서 우연히 들은 서예 수업은 나중에 매킨토시의 서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 500여권의 다양한 저술을 남긴 실학의 대가 정약용 또한 의학과 과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수원성의 축조 시 거중기와 녹로를 만들어 비용과 건설기간을 단축시켰다. <다다익선>으로 세계에 한국을 알린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은 미디어아트의 새로운 아방가르드적 예술을 이끌었다.

문·이과 통합을 위한 초·중등 교육과정개편에 대한 여러 찬반 논의 가운데 뜻밖에도 대학에서 현행 수능중심의 인재선발을 고집한다면 통합교육의 효과가 있겠느냐? 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려온다. 이는 대학의 현행 학과중심 교육이 통합교육을 통해 길러낸 인재를 지속적으로 융합인재로 양성해 낼 수 있느냐? 에 대한 질의라고 생각된다.

최근 대학은 융복합 교과목을 개발하고 연계전공이나 융합전공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학생들이 원하는 전공을 자유롭게 선택해서 듣게 하는 자유전공이수제도 실시한다. 그러나 사실 많은 학생들이 융합전공을 듣거나 전공을 자유롭게 설계하는 혜택을 받는 것은 아니다. 이번 기회에 대학들도 좀 더 적극적으로 통섭(統攝)과 학제 간 연구, 융합교육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오감도>는 한국현대시 가운데 난해시로 유명하다. 외국학자는 물론이고 철학, 수학, 정신의학자, 시각디자인 전공자들이 함께 모여 학문의 벽을 허물고 연구한 성과는 이상을 다 빈치와 같은 인물로 세계 속에서 인정받게 해 줄 수 있다. 대학은 연구부분에서 학제 간 연구의 결과물을 축적하여 ‘융합학문’이 뿌리내리도록 더욱 노력해야한다. 심도 있는 전공분야의 연구와 더불어 타학문과의 연결고리에도 관심을 기울일 때이다. 또한 교육에 있어서도 학생들이 기존의 틀로는 볼 수나 생각할 수 없는 것들을 새롭게 조합하고 창조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융합교육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 대학에서 학문의 융합과 소통이 더욱 활발하게 진행될 때 한국의 미래교육에 밝은 서광이 반짝이며 찬란히 비추일 것이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