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를 일컬어 흔히 통섭의 시대라고 이야기 하곤 한다. 통섭이란 두 가지의 수평적 지식의 합리적인 통합을 통해 더 나은 가치를 발현한다는 의미이다. 바로 경영학을 전공하는 학생이 한손에는 아이패드를, 한손에는 철학서적을 들고 다니는 시대라는 것이다. 그에 대한 예로서 스티븐 잡스를 들 수 있다. 그가 학창시절 배웠던 서체는 컴퓨터의 다양한 폰트로 발전하였고, 그가 잠시 애플을 떠나 인도 여행을 통해 배운 선불교의 ‘공’이라는 개념은 아이 폰을 매우 단순하고 간편하게 만들어 낼 수 있었다. 이렇게 인문학과의 통섭은 폭 넓은 이해와 관점을 만들어 낸다.
![]() |
||
무엇보다 <군주론>의 독서리뷰로 상을 받은 것은 더 큰 의미가 있다. 책에도 언급한 것처럼 대선을 한 달 정도 앞둔 이 시점에서 대한민국의 한 유권자로서 올바른 군주의 관점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마키아벨리가 바라는 이상적인 군주는 시민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갖고 있는 군주이며, 그들을 위한 보편적 의지를 이해하고 또 그 주권을 올바로 행하는 사람이다. 이를 위해서는 때로는 도덕률이 넘지 않는 한에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강력한 결단력도 보여야한다. 이 시대에 필요한 군주가 필요한 덕목은 단순한 선함을 넘어서 국민을 공감시키는 호소력과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강력한 주권이 갖춰진 사람이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이번 기회는 외형적인 상의 개념을 넘어서 책을 비판적이게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선사해주었다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