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탄소문명을 읽고

김보경 학우 (국어국문학·3)
- 8분 걸림 -
남이숙(일어일문학)교수

무기화합물이지만 생체 내에서 탄소와 결합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여 조사대상으로 취급) 사회를 움직이는 원동력이 된 석유와 같은 에너지원에 관한 이야기이다.

어느 파트나 재미있게 읽혔는데 왜 그러나 곰곰 따져보니 화학에 관한 이야기만 다룬 것이 아니라서 그런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흥미롭게 읽은 내용은 커피에 관한 이야기이다. 중요한 대목만 간추려 소개하면 이런 식이다.

애당초 커피는 원산지인 에티오피아에서는 약초로서 사용되었다고 한다. 지금과 같이 음료로서 사랑받게 된 것은 15세기이다. 오늘날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음료치고는 상당히 늦은 출현이다. 그 원인은 커피 원두가 구수한 냄새가 아니라 풋내밖에 풍기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볶아야 아미노산과 다당류가 분해되어 그 맛과 색을 내게 되는데 이러한 것을 알게 되기까지는 큰 산불이 나고 나서야 알게 되었다고 한다. 산불에 의해 커피가 로스팅되자, 커피 원두가 구수한 향을 뿜어낸다는 것을 알고 누군가 호기심에 그 맛을 보게 되면서부터 커피의 맛과 작용에 눈을 뜨게 되었다는 것이다.(이 밖에도 다양한 설이 있음)

이렇게 발견된 커피는 16세기 초반 이슬람세계인 카이로와 메카에 보급되어 상당한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너무 인기가 있어 이슬람 사회에서 여러 번에 걸쳐 커피 금지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표면상으로는 종교적 이유였지만 카페가 아지트가 되어 정치를 비판하고 폭동을 모의하는 장소였기 때문이다.

17세기에는 유럽에 상륙. 처음엔 이슬람의 음료라고 해서 꺼려하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향기와 효능을 마음에 들어 한 교황 클레멘스 8세가 커피에 세례를 주어 그리스도교의 음료로 공인한다. 세례를 받은 후에도 강렬한 각성효과를 갖는 커피에 대한 거부반응은 계속된다, 특히 포도주와 맥주업자들은 강력한 단속을 원했고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대왕은 커피수입으로 야기되는 부의 유출과 건강상의 피해를 두려워하여 커피를 통제하려고 했다.

이런 커피를 금지운동도 없이 받아들인 나라는 네덜란드이다. 커피를 수입하는 동인도 회사에서 뇌물을 받은 어떤 관료는 커피의 효능을 열심히 선전하며 하루에 적어도 10잔 50잔 100잔으로 늘려가자고 했다고 한다. 두 잔 이상이면 건강에 도움이 안 된다는 오늘날의 기준으로 보면 당치도 않은 얘기이다.

이렇게 해서 아침식사를 할 때도 도수가 낮은 맥주나 포도주를 마셨던 유럽 사람들은 머리를 맑게 하고 각성효과를 갖게 해준다는 이유로 커피를 일상화하게 된 것이다.

실제로 발자크나 볼테르, 바흐와 같은 문학가나 예술가들은 하루에 몇 잔이고 진한 커피를 들이키는 커피애호가였다고 한다. 괴테도 커피 중독자들 중 한 명으로 어떻게든 섭취량을 줄여보려고 노력했다고 한다. 괴테는 중년기 이후 자연과학에도 흥미를 가지며 문필활동을 하는데 커피의 작용을 해명할 수 없을까 고민했다. 그래서 어느 날 잘 알고 지내던 화학자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룽게에게 커피의 유효성분 분석을 권하고 대문호 괴테의 직접적인 권유로 작업을 시작하게 된 룽게는 시행착오 끝에 C8H10N4O2이란 화학구조를 가진 카페인 결정화에 성공하여 역사에 이름을 남기게 되었다는 것이다. 시인과 화학자의 만남이 카페인 발견의 동기가 되었다는 것은 융복합을 논하는 시대에 상징적인 사건이 아닐 수 없다.

이렇게 해서 시작된 카페인 음료의 애호 파도는 파리에서 하나의 정점에 이른다.

파리의 카페는 계몽사상의 거점이 되고 이곳에서 급진적인 연설이 행해지고 혁명까지 논해지는 장소가 되어 프랑스 대혁명의 발단을 제공한다. 특기할만한 점은 이 혁명을 이끈 나폴레옹도 커피를 즐겨 마시고, 그 각성효과에 착안하여 커피를 군대의 음료로서 집단적으로 채택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당시 프랑스 작가이자 나폴레옹을 정치의 세계로 이끈 탈레랑이 커피의 치명적인 유혹을 떨치지 못해 <악마와 같이 검고, 지옥과 같이 뜨겁고, 천사와 같이 순수하며 키스처럼 달콤하다> 라고 선언했다고 하는데, 커피가 주는 매력에 유럽이 얼마나 사로잡혀있었는지 충분히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몇 가지 개인적인 소견을 덧붙이기도 했지만, 저자는 이상과 같은 방법의 내러티브로 탄소가 어떤 종의 화합물과 결합하여 인간의 감정을 고조시키고 인간을 둘러싼 문화를 구축하는데 관여해 왔는지를 그 기원· 역사 · 유통과정 등 여러 가지 사항과 관련지어 서술하고 있다. 만약 이 책이 화학기호만을 이용해 커피는 탄소와 수소, 산소의 화학구조물로 각성효과와 집중력을 갖게 하는 효능이 있다는 설명만이라면 어땠을까? 그렇다면 결코 나와 같은 일반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 기원을 밝히기 위해 역사적 사료를 뒤적이고 역사의 굽이굽이에서 어떤 인물과 만나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식으로 유통되어 무슨 예술을 낳는데 이바지하고, 어떤 시대적 사건에 영향을 주었는지 탄소와 합성되어 만들어진 이 물질이 인류의 역사에 어떻게 이바지했는지에 관해 할애한 정보가 나로 하여금 탐독의 쾌락을 느끼게 하지 않았을까.

요즘 여기저기서 융복합이 화두이다. 음식이나 예술분야에서는 일찍이 퓨전요리, 콜라보레이션 등의 표현으로 이미 융복합의 시도가 이루어진지 오래 되었지만. 학문분야에서는 아직 미개척분야가 많다. 이 책을 덮으며 화학과 같은 현대과학도 한 가지 주제를 선정하고 이런 식으로 여러 측면에서 접근해가면 인문 사회 문화 예술과 얼마든지 접목 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바야흐로 독서의 계절이다! 자기학문만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좀 더 넓은 세상을 엿보는 여유를 가져보자. 그러면 우리가 고민하고 있는 것들의 해결책이 어렴풋이나마 보일지도 모른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오피니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