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자의 말?말?말! (2부)
20대의 시작, 대학 생활 대학이란, 청소년에서 벗어나 성인이 되어 처음 접하는 환경이기도 하지만 수동적이였던 초·중·고 생활과는 달리 스스로 뭐든지 해결해 나가야 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리고 선·후배 관계가 보다 또렷해지고 집단 활동을 자주 접할 수 있는 본격적인 발판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당신은 어떤
오피니언은 기자칼럼과 독자투고, 그리고 황룡담 등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20대의 시작, 대학 생활 대학이란, 청소년에서 벗어나 성인이 되어 처음 접하는 환경이기도 하지만 수동적이였던 초·중·고 생활과는 달리 스스로 뭐든지 해결해 나가야 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리고 선·후배 관계가 보다 또렷해지고 집단 활동을 자주 접할 수 있는 본격적인 발판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당신은 어떤
2주폭풍다이어트 누구나 단기간의 다이어트 보다는 장시간을 두고 천천히 살을 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하지만, 옷이 점점 짧아지는 계절이 다가온 이때 조금이라도 빨리 살을 빼고 싶은 욕심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2주폭풍다이어트는 단기간에 살빼기를 원하는 이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앱이다. 몸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1. 가상현실, 더 이상 상상이 아니다. 학창시절 여러 판타지 소설들을 읽으며 한 번씩 가상현실 게임을 상상해보았을 것이다. 그때당시 상상 속에만 존재했던 가상현실 게임이 실제로 개발되어 지금은 이미 상용화가 됐다. 가상현실은 주로 구글이 연구하고 있는데, 2008년 처음으로 구글에서 ‘구글 라이블리’서비스를 시작으로 ‘구글 고글’ 그리고 최근 ‘
와라! 동아리 신입생 여러분! 3월 중순에 열린 동아리 박람회를 통해 동아리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 것이라고 생각해. 하지만, 동아리 박람회에 참여한 동아리의 수는 겨우 30개 남짓밖에 되지 않아. 허나 실제로 동아리는 70개를 웃돌고 있고 학내동아리를 생각한다면 그 수는 더욱 많지. 여기서 나는 여러분이 동아리로 새롭게 캠퍼스를 즐기는
기회비용[opportunity cost, 機會費用]은 사전적 의미로 어떤 재화의 여러 가지 종류의 용도 중 어느 한 가지만을 선택한 경우, 나머지 포기한 용도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의 평가액으로 정의된다. 필자는 올해부터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경제개념을 알려주는 멘토로서 봉사활동을 한다. 지난주에는 센터에 가서 ‘기회비용’이라는 개념을 알려주는 시간을 가졌다. 아이마다
지구촌의 축제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올림픽이 열린 약 보름동안 대중들의 모든 관심은 출전한 선수들에게 집중되었다. 그 중 그동안 대중들의 눈길을 끌지 못했던 ‘컬링’은 이번 올림픽 경기를 통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컬링은 첫 경기부터 승리를 거두며 주목을 받았다. 그 후 컬링은 매 경기 최고 시청률을
향기는 사람의 머릿속에 오래 남아 있는 감각입니다. 향기를 통해 추억, 감정 등을 떠올릴 때가 많습니다. 향기뿐 아니라 라면, 음료수 등 많은 냄새도 우리의 감각을 자극합니다. 이렇게 향기는 우리 생활 전반에 걸쳐서 존재합니다. 이런 향기를 만들어내는 사람이 바로 조향사입니다. 온종일 향기에 빠져서 수없이 많은 향을 만들고 맡는 조향사. 어떤 직업이고 어떻게
2014년도 새해가 밝았다. 우리는 어느덧 20번째 이상의 새해를 맞이하게 되었다. 20번 이상의 새해를 맞이하면서 각자의 길을 걸어오면서 숱한 어려움도 있었겠지만 묵묵히 걸어왔다. 필자는 군산대학교 대학신문사 34기 기자를 활동하면서 2014학년도 편집장이 되었다. 처음 대학신문사 수습기자가 되었을 때가 얼마 안 된 것 같은데 선배와 동기, 작년 수습기자들이 있었기에 조금의 어려움을 이겨내고 편집장이라는
출퇴근 길, 여느 때와 다름없는 도로 위 교통 정체는 운전자들에게 고역과도 같은 시간이다. 기다리는 시간이 이보다 더 지루하고 따분하게 느껴질 수 있을까. 운전자가 잠깐이라도 다른 곳에 한눈을 팔기라도 하면 조금이라도 더 전진하라며 뒷 차가 경적을 울려대고, 그 사이 앞 차와 잠시 생긴 틈을 비집고 들어오는 다른 차가 생기기 일쑤다. 이러한
흔히 역사를 거울에 비유한다. 그래서 역사서를 거울 감(鑑)자를 써서 ‘통감(通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국의 자치통감이나 우리나라의 동국통감 등이 그 예이다. 역사를 거울이라고 처음 말한 사람은 당태종 이세민이다. 그는 “거울로 내 모습을 비추어보아 옷매무새를 바르게 고칠 수 있는 것처럼, 역사를 거울로 삼아 흥망과 득실을 알
‘수습기자’라는 직함을 이름 옆에 달고 내가 쓴 기사가 처음 지면에 실렸을 때 무한한 책임감과 뿌듯함을 느꼈고 앞으로 써나갈 기사에 항상 최선을 다 하겠다 다짐했다. 그 뒤 3년 간 서른 네번 신문을 발행했으며, 백여 번의 마감을 했다. 3년 전 처음으로 기사를 작성하던 나의 밤은 서툴고 엄숙했다. 원고지 세